
문정호 환경부 차관을 비롯해 전 환경부 장관과 환경부 산하 일부 기관장들이 집중호우로 인해 전국에서 비 피해가 잇따르던 지난 13일 경기도 광주에서 술자리를 가진 것으로 뒤늦게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최근 국토해양부의 연찬회 파문 이후 정부와 공공기관이 공직기강 바로잡기 등 긴급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현직 차관의 술자리 참석은 부적절했다는 지적이다.
18일 환경부와 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문 차관은 지난 13일 오후 7시 광주시 도척면 유정리 T가든에서 K 전 환경부 장관과 전·현직 한강유역관리청장, 팔당수질개선본부장 등 환경부 산하 전·현직 고위 간부들과 광주지역 기업인 등 모두 50여명과 함께 술자리를 가졌다.
이 자리는 문 차관이 차관 임명 이전에 관련 업무를 수행하면서 친분을 맺었던 지인들과의 사적인 만남으로, 1년에 1~2회 정기모임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메뉴는 영양탕에 곁들여 소주와 맥주, 양주 등이 올려졌으며 밤 11시께 술자리가 끝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술자리가 열린 당일은 한 달여 동안 중부지방에만 700㎜가 넘는 장맛비가 내려 구제역 매몰지 침출수 유출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된 데다, 전날 태풍 '망온'과 13일 밤부터 중부지방에 150㎜의 장대비가 예보된 상황이었다.
주민 A씨는 "장맛비로 인해 사람이 죽고 농작물이 물에 잠기는 등 전국적으로 비 피해가 속출하는데 고위공직자가 술자리를 해도 되는 것이냐"며 "모임의 성격을 떠나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환경부 차관실 관계자는 이에 대해 "술자리 중심이 아닌, 수질오염총량제 등 광주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허심탄회하게 듣기 위한 자리여서 차관께서도 끝까지 함께 하셨다"며 "솔직히 유흥주점을 가거나 골프를 했다면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지역 현장에 가서 지역경제를 살리고자 한 것인데 이마저도 하지 말라면 복지부동하라는 것밖에 안 된다"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임명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