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증차 반대로 인한 경기지역 광역버스들의 만연화된 정원 초과 운행이 논란이 된 가운데(경인일보 10월6일자 22면 보도), 실제 경기도가 요청한 노선 연장 및 증차에 대한 서울시의 동의율이 20%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의 사유 대부분은 도심 교통 혼잡 때문으로, 서울시의 유난스런 교통 장벽이 도민들의 교통 불편을 야기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10일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이계원(한·김포1) 의원이 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9년부터 지난 6월 말까지 3년간 도내 각 시·군이 광역버스 노선 신설, 연장, 증차에 대해 서울시와 협의한 건수는 333건으로 이 가운데 77%인 256건에 대해 서울시가 도심혼잡 등의 이유로 '부동의' 의견을 냈다.
용인시의 경우 22건을 협의해 모두 부동의 처리됐고, 수원시는 41건 가운데 2건을 제외한 39건이 거부됐다. 22건을 협의한 고양시도 19건이 부동의 처리됐고 광주와 김포 등 서울 접경 도시의 사정도 비슷했다. 각 시·군이 부동의 처리에 불복해 국토해양부에 조정을 신청한 건수는 196건에 달하지만 이같은 요구를 받아들인 '인용'의 경우는 8%(16건)에 불과했다. 이 의원은 "국토부가 서울시의 입장만을 고려해 조정 결과를 낸 것으로 분석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서울도심의 교통혼잡만을 내세우는 서울시의 고압적인 자세도 문제지만, 도의 협상방식에도 문제가 있다"며 "좌석할당제로 운영되는 M버스 운영 확대를 위한 총괄팀 구성 등 도 차원의 지원체제 구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김태성기자
광역버스 노선 연장·증차 '서울시 손사래'
경기道 요청, 동의율 20%대 그쳐… 교통혼잡 이유 도민불편 초래
입력 2011-10-10 22:37
지면 아이콘
지면
ⓘ
2011-10-11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