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세기 경기권 발전을 견인할 신성장동력은'.
정답은 해양수산 분야다. 행정가들과 지역전문가들은 해양수산 분야의 발전을 통해 지역 부가가치를 높여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노동집약적 산업은 인건비와 원자재 가격상승 등의 요인으로 빠른 속도로 도태되고 있기 때문이다.
갯벌·경관 등 발전 잠재력
연구소 등 기관·인력 보유
양식빌딩·연안정비도 추진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권은 앞으로 신성장동력인 해양수산을 중심으로 노동과 자본을 투입해 해양중심도시를 위한 중장기 계획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권의 산업지도가 바다를 중심으로 신해양 경제허브를 지향하는 모습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는 이 같은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최근 경기개발연구원에 '경기도 해양수산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용역을 진행했다.
■ 경기도 해양수산 발전방향= 경기도는 해양수산 발전을 위해 특단의 조치를 취한다는 입장이다. 작지만 강한 경기해양수산 발전 전략을 추진한다는 것.
경기도는 우수한 갯벌과 수산기반 해양자연경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높은 발전 잠재력을 구비하고 있다. 경기도 해안선의 길이는 254㎞로 전국 대비 2% 수준이다. 또한 유인도와 무인도는 총 38개소로 전국 대비 1.2%이며, 갯벌면적도 총 168㎢로 전국 대비 6.8% 수준이다.
특히 해양수산연구소를 비롯해 관내 우수한 R&D기관과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있고, 국내 최대 시장인 수도권에 위치해 교통과 시장 접근성이 구비돼 동북아지역 거점형 해양관광 및 해양레포츠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 경기도는 해양레저스포츠 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발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화성시 전곡항과 안산시 탄도항 일대에서 '경기국제보트쇼'와 '코리아매치컵 세계요트대회'를 개최했다.
■ 어떤 사업 추진하나= 경기도는 향후 10년 동안 바다 살림을 꾸려나가기 위해 3개 분야 93개 사업에 모두 7천376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해양관광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1천198억원을 투입, 마리나항을 건설하는 등 총 23개 사업에 2천673억원을 배정한다. 국내에서 마리나법 제정 이후 첫 사례로 화성시 제부도에 '제부마리나항' 건립사업이 추진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수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양식빌딩 건립 등 총 32개 사업에 2천362억원의 예산이 편성된다.
해양보전과 이용의 조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해양 구축을 위해서는 연안정비사업에 445억원을 배정하는 등 총 38개 사업에 2천341억원 등이 투입될 예정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 해양수산의 10년 앞을 보고 세운 계획"이라며 "해양수산의 환경변화에 대응하며 세부 추진과제를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5년간 도내 어촌계의 경영여건은 어족자원 감소, 인건비·유류비 등 어업경비 상승 등으로 크게 악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자연스럽게 어업인구도 감소추세다.
/이경진·강영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