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등 도내 각 지자체와 민간단체가 임진왜란과 구한말 열강의 침탈 등을 거치면서 약탈당한 문화재 환수에 적극 나서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특히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우리 민족의 정체성 확립과 함께 문화주권을 회복해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한 가운데 추진되고 있어 주목된다.

27일 고양시 등에 따르면 임진왜란과 구한말 열강의 침탈 등을 거치면서 상당수의 문화재가 해외로 밀반출 또는 약탈당했다. 이에 시는 일본이 약탈한 벽제관 육각정(碧蹄館 六角亭) 환수에 나서기로 하고 조만간 환수위원회를 구성, 이를 적극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고양시는 문화재청의 협조를 얻어 오는 6월쯤 일본 이와쿠니시와 환수 협의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벽제관은 조선의 2대 관문 중 하나로, 중국 사신을 영접하고 왕의 능 행차시 행궁으로도 사용된 곳이다.

하지만 2대 조선 총독 하세가와가 일제 강점기인 1918년 자신의 고향인 일본 야마구치(山口)현 이와쿠니(岩國)시로 옮겼다. 그러나 95년이 지난 지금까지 돌아오지 못한 채 일본에 머물러 있다.

시 관계자는 "우리 민족의 역사와 선조들의 혼이 담겨 있는 문화유산이 제자리를 찾도록 하는 것은 문화 민족의 긍지와 국치를 회복하고 국격을 높이는 일"이라고 말했다.

또 민간단체인 이천시 이천오층석탑환수위원회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이 약탈한 이천오층석탑 환수운동을 펴고 있다. 이 석탑은 고려 초기 이천향교 부근에 건립됐다. 환수위는 지난해 4월 미국박물관협회 연차총회에서 국제사회에 실상을 알리기도 했다.

또 담배와 소주병에도 석탑 환수 홍보 문구를 게재하는 등 대대적인 환수 홍보활동을 벌이고 있다. 특히 환수위는 그동안 실존 여부가 불투명했던 이천오층석탑 상륜부 유무를 사진을 통해 확인하고 환수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한편 문화재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해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는 20개국, 14만여점에 이르며 그동안 국내로 환수된 문화재는 10개국, 9천751점으로 대부분은 정부가 되찾았다.

아울러 불법적으로 반출된 문화재를 환수하기 위해서 국제연합 산하 전문기구인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를 중심으로 관련 협약이 제정돼 운영되고 있으나 강제력이 없어 장시간에 걸쳐 이해 당사국 정부 간 협상, 기증, 구입 등을 통해 반환이 이뤄지고 있다.

이천·고양/심재호·김재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