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천시가 '지능형 역학조사 시스템' 도입 사업을 추진하면서 갑질 논란(1월25일자 9면 보도=부천시 '지능형 역학조사' 구축사업 갑질 논란)이 인 가운데 시와 업체 간 갈등이 계속되면서 애초 도입·시행 시기가 한 달 넘게 늦어지는 등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부천시 등에 따르면 시는 작년부터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을 쉽게 파악하고자 '지능형 역학조사 시스템' 도입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부천지역 관내 CCTV(1만820여 대)와 인공지능(AI) 얼굴인식기술을 결합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A사 등 4개 회사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맡았다.
애초 이 사업은 지난 1월15일 완료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여전히 시스템 도입은커녕 시가 최종 승인을 위한 검토조차 제대로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와 갈등 승인 검토조차 못해
A사, '목표 달성' 시험성적서 제출
"동선 정확도 핑계로 갑질" 주장
시스템 구축을 완료한 A사가 지난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받은 시험성적서를 시에 제출했는데, 시에서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 과제는 대부분 TTA에서 시험성적서를 받아 제출한 후 종료한다는 게 A사 관계자의 주장이다.
TTA에서 해당 시스템을 시험한 결과를 보면 ▲확진·접촉자 얼굴 인식 ▲동선 추적·인물 검출 ▲동선 추적·인물 재인식 ▲접촉자 판단·거리 측정 ▲마스크 착용 유무 판별 ▲성별 및 연령 ▲감염 확산 예측 등 모든 항목에서 목표치(85~95% 이상)보다 높은 결과가 나왔다.
A사 관계자는 "시에선 공인시험기관에서 인정한 시험성적서도 '인정하지 않는다'며 프로젝트 종료를 못 하게 하고 있다"며 "시에선 우리가 시스템과 관련한 설명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그게 아니라 설명을 해도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특히 애초 사업 제안서와 수행계획서에 나오지도 않은 동선 정확도를 핑계로 갑질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市 "자세한 설명조차 없어" 반박
반면 시는 A사의 소통 부재가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이 사업은 데이터세트 구축과 실제 영상을 통해 확진자의 동선을 제대로 파악해야 하는 게 중요하다. 그런데 A사에선 어떤 방법으로 찾는지 등 시나리오도 제출하지 않았고 자세한 설명조차 없었다"면서 "이런 부분이 선행돼야 하는데 그렇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도입 시기가 계속해서 늦어지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A사는 이번 프로젝트와 관련 최초 협의한 사항을 모두 이행했다는 내용의 공문을 시에 보내 사업 종료를 재요청한다는 방침이다.
부천/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