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원 게시판에 비리대책 요구 빗발
실명 공개 후 "특감 필요" 목소리
박용진 의원 "반발로 끝내면 안돼"


사립유치원의 도 넘은 비위 행위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경기도교육청이 중단하기로 한 특정 감사(10월 4일자 7면 보도)의 재도입 필요성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회 더불어민주당 박용진(서울 강북을) 의원이 지난 12일 자신의 SNS를 통해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이뤄진 사립유치원에 대한 감사 결과 보고서 등을 공개하면서 전국에서 사립유치원 비리에 대한 특단의 대책 마련 요구 등이 빗발치고 있다.

이 같은 국민들의 관심사를 가장 쉽게 느낄 수 있는 곳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이다.

비리 사립 유치원 폐쇄와 원장의 재산 환수 및 법정 구속 등을 주장하는 청원이 수백명의 동의를 얻고 있다.

이와 함께 사립유치원의 비리를 폭로하는 전직 유치원 교사의 청원 등 사립유치원 관련 청원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인천지역 비리 사립유치원 명단이 게재된 한 포털사이트 블로그에는 사립유치원에 대한 비난과 함께 질타가 쏟아지고 있다.

비리 사립유치원 명단 공개만큼이나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경기도교육청이 그간 시행해 왔던 사립유치원에 대한 특정 감사다.

앞서 도 교육청은 지난 2016년 감사부서에 전담팀을 꾸려 사립유치원 운영에 문제가 없는지 특정 감사를 벌였다.

하지만 사립유치원 측이 지난해 7월 이재정 교육감과 감사담당자 등 3명을 직권남용 등 혐의로 검찰에 고소하며 크게 반발하자, 도 교육청은 최근 사립유치원에 대한 특정 감사를 내년부터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일부에선 특정 감사 중단 배경을 놓고 설왕설래가 이어졌으나 학부모 등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서 흐지부지되는 듯했다. 그러나 비리 사립유치원의 실명이 공개되면서 상황은 급반전했다.

6살 아이를 둔 김모(35·여)씨는 "비리 사립유치원 이야기가 뜨겁기에 혹시나 하는 마음에 우리 아이가 다니는 유치원도 비리 유치원인가 찾아봤는데, 회계 문제로 감사에 적발됐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아무 문제 없다는 원장의 말만 믿고 있었는데 선량한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특정 감사와 실명 공개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 측도 "경기도 교육청의 특정 감사를 통해 사립유치원에서 발생하고 있는 각종 비리를 알게 됐고, 경각심을 일깨워 주기 위해 비리 사립어린이집의 실명을 공개하기로 한 것"이라며 "특정 감사가 문제가 될 때마다 사립유치원 관련 단체는 시위와 집단 휴업 예고 등으로 도 교육청을 괴롭히곤 했는데, 이 때문에 특정 감사를 그만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준석기자 lj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