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서 '미세플라스틱 토론회'
범시민 대응기구 조직 논의도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해 해양 쓰레기에 대한 정확한 실태 조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가톨릭환경연대, 인천녹색연합 등 인천지역 환경단체들은 8일 인천YWCA에서 열린 '해양 미세플라스틱 대응방안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하고 관련법 제정을 촉구했다.
미세플라스틱은 5㎜ 미만 크기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의미하는데, 입자가 작아 하수처리시설에서 걸러지지 않고 강이나 바다로 그대로 흘러들어 해양 생태계 파괴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인천 연안은 한강을 통한 쓰레기 유입과 선박 훼손 등으로 국내에서도 플라스틱 오염이 심각한 곳으로 꼽힌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한 해양 쓰레기 전반에 대해 정확한 실태조사부터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토론자들은 특히 해양 오염을 유발하는 어구에 대한 관리 체계가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토론자로 나선 인천녹색연합 장정구 정책위원장은 "인천 앞바다의 쓰레기 처리량은 매년 줄고 있다는데, 주민들이 느끼는 해양 쓰레기 문제는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라며 "쓰레기 발생이 줄어든 것인지, 예산문제로 처리량만 줄어든 것인지 정확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미세플라스틱 발생의 주범인 어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법안이 현재 국회에서 계류 중이다. 서둘러 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했다. 이 외에도 토론회에서는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범시민대응기구 조직 등의 대책이 논의됐다.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올해 초부터 인천 연안의 미세플라스틱 오염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조사 후에는 분석 대상 지역을 더욱 확대해 미세플라스틱 등의 해양 쓰레기 문제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현재는 인천 연안에서 채취한 시료를 분석하는 단계"라며 "해양 쓰레기 문제를 막기 위해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캠페인을 펼치는 등 다각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승배기자 ksb@kyeongin.com
"해양 쓰레기 정확한 실태조사가 먼저"
입력 2019-07-08 21:53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7-09 8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