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지역 역세권 중심으로 정부의 대규모 주택공급 사업이 이뤄지는 가운데 지역 특성과 주민 생활권을 분석한 개발 전략이 수립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연구원은 15일 이슈 브리프 제18호 '인천시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 정책 방향' 보고서를 통해 인천 구도심 역세권 활용 관련 전제 조건, 전략, 서울시 역세권 개발 사례 등을 분석했다.
인천 구도심 역세권은 대중교통 접근성이 높으나 도로 등 기반 시설이 부족하고 노후화하면서 인구·종사자가 계속해 줄어든다고 인천연구원은 분석했다.
인천은 구도심 역세권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정부 주도의 주택 공급 정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인천연구원, 원도심 활성화 보고서
중심지 위계 등 유형별 계획 수립
지역 대표 구도심 역세권인 인천 미추홀구 제물포역 일대는 지난달 국토교통부의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방안(2·4대책)' 중 하나인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2차 예정지구로 지정됐다. 또 다른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인 부평구 굴포천역 일대는 지난 14일 주민 설명회가 열리는 등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단계를 밟고 있다.
인천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역세권마다 중심지 위계나 노선 현황, 환승역 여부, 역세권 주변 토지이용 현황 등 다른 특성을 가진 만큼 유형별로 사업 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해야 한다고 했다.
도심에 위치한 역세권은 중심지 역할에 맞는 상업·업무 비율을 높이고, 중심 지역에서 비교적 벗어난 지역은 임대주택 비율을 높여 주거 안정 정책을 시행하는 게 적합하다는 내용이 담겼다.
'주거단지 집중' 활성화에 부정적
市에 '준공업지역 우선 관리' 제언
주거 단지 조성에 집중한 역세권 개발은 오히려 도심 활성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 결과도 나왔다.
인천 남동구 구월동 중심지에 속하는 석천사거리역·모래내시장역 일대는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88%, 78%로 주거지가 밀집한 곳이나 역별 상권 매출은 오히려 주거지 비율이 낮은 부평역 등과 비교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역세권에 있는 준공업지역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인천시가 준공업지역에 대한 관리 계획을 우선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경공업이나 환경오염이 적은 공장을 수용하는 준공업지역은 일반공업지역과 달리 주거·상업·업무시설이 들어설 수 있다. 산업과 주거를 분리하지 않고 복합 배치하면 도심 활용도를 높이는 장점을 가진다.
서울은 준공업지역에 주거·산업 시설이 혼재된 앵커 산업시설을 조성하고 주변부를 순차적으로 정비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조례를 개정하고 준공업지역 산업부지 확보 비율을 50%에서 40%로 완화하기도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