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특별시를 표방하는 인천시가 올해 기후변화 위기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탄소 다이어트' 정책에 주력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19일 박남춘 시장 주재로 열린 2022년도 환경·안전 분야 주요 업무계획 보고회에서 이 같은 방침을 정했다.
인천시는 서구 오류동 일원에서 추진하는 '인천 에코사이언스파크' 조성사업이 올해 정부 그린뉴딜 정책의 하나인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로 지정되도록 행정력을 모을 계획이다.
강소특구는 대학, 연구소, 공기업 등 지역의 주요 기술 핵심 기관이 모인 지역을 연구·개발(R&D) 특구로 지정해 육성하는 제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강소특구 조성(1차 연도) 사업비 60억원을 마련해 놓은 상태다.
인천시는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한국환경공단, 국립환경인력개발원 등 6개 국가연구기관이 있는 서구 오류동 한국산업연구단지 일원을 강소특구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연구단지 내에는 환경 분야 중소·벤처기업 80여 개가 몰려 있기도 하다.
4월 발표 정부 강소특구에 '에코사이언스파크' 지정 행정력 집중
공공 온실가스 감축 57%로 상향… 하반기엔 탄소중립전략 선포
인천시는 녹색산업 융·복합 기술과 환경산업 융·복합 기술사업 거점으로 인천 에코사이언스파크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과기부는 빠르면 올해 4월 중 새로운 강소특구 지정을 발표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환경부, 인천대학교 등 강소특구 참여 기관과 협력해 특구 지정 심사에 대응할 방침이다.
인천시는 올해 공공 부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목표를 지난해 55.4%보다 1.6%p 높인 57%로 설정했다. 신재생에너지를 늘리고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으로 꼽히는 영흥석탄화력발전소 1·2호기 조기 폐쇄도 지속해서 추진하기로 했다. 친환경 차량은 올해 수소차 552대와 전기차 1만850대 보조금 지원 등으로 지난해보다 확대해 보급한다.
인천시는 '2050 탄소중립 전략 수립 연구용역'을 추진해 온실가스 저감 정책을 대폭 보강할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올 하반기 탄소중립 추진 전략 선포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박남춘 시장은 이날 보고회에서 "물길 복원, 맞춤형 미세먼지 개선 등 탄소중립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쳐 나갈 것"이라며 "시민들에게 건강한 토양·대기·해양 환경을 돌려주고, 재생에너지와 갯벌 등 환경을 인천의 성장 동력으로 키워 나가는 환경특별시 비전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3면(매립지 종료 대비한 자원순환정책 '진전된 결과물 얻기' 행정력 쏟는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