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교육복지 수요가 늘었지만 경기도의 교육복지사 배치율은 전국 최하 수준이다. 방역부담이 커진 학교가 사각지대 아동을 관리하기 힘들어졌음에도 도내 교육복지사 수는 작년보다 감소해 사각지대 해소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교육복지사는 지역사회와 연계해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취약계층 학생의 학교생활 전반을 지원한다. 코로나 장기화로 등교 일수가 줄고 학교의 방역 부담이 커져 교사들이 취약계층 학생들의 건강상태·학교생활을 관리하기 힘들어지면서 교육복지사의 필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도내 한 초등학교 보건교사 김모씨는 "보건소에서 하던 업무까지 학교가 하게 돼 마비상태다. 정작 아이들을 관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다문화, 한부모 가정 등 집에서 케어를 할 수 없는 아이들은 다쳐도 바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영양 상태가 나빠도 아무도 신경써주지 않아 방치된다"고 말했다.  


'4.9%' 평균 13%에 크게 못 미쳐
1인당 우선 사업지원 예산도 '최하'
도교육청 "증원 한계… 개선 고민"


학생 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경기도의 교육복지사 배치율은 전국 최하 수준이다. 작년 강득구(안양만안)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의 교육복지사 배치율은 4.9%로 경남(4.8%)에 이어 두 번째로 저조했다. 전국 평균인 13%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시도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학생 1인당 지원예산 역시 전북이 6만1천502원으로 가장 높은 반면 경기도는 5천764원으로 가장 저조했다.

올해는 작년보다 교육복지사 배치율이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복지 관련 업무를 하는 도내 직원은 127명이며, 도내 2천500여개의 학교 중 교육복지사가 배치된 학교는 4.5%에 그쳤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학생 1인당 지원예산 역시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도교육청은 공무직 정원 수가 정해져 있어 교육복지사 인원을 늘리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공무직원은 조례상 직종별로 정원 수가 정해져 인원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이전보다 보편 복지 사업들이 늘어나며 취약계층에 대한 교육복지 부분이 약화되기도 했다"며 "지적된 사항들을 알고 있어, 어떻게 개선해 나갈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이자현기자 nature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