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서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을 추진하면서, 경기도에서도 해당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교통 취약지역이 많은 도내 지역 특성상 서울보다 교통비 지원이 절실하다는 이유인데, 민선 8기 경기도에서도 해당 사업 추진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돼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8일 서울시와 도에 따르면 서울시는 7월부터 임신 3개월(12주차)부터 출산 3개월인 임산부 1인당 70만원의 교통비를 지원한다. 해당 교통비는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은 물론 자가용 유류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 공약 사항이자,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낮추겠다는 목적이다.

 

분만실 갖춘 산부인과 없어 원정도
서울시처럼 도내 추진 목소리 커져
道 "사업 요청 많아… 적극 검토중"


반면 도내에서 임산부를 위해 교통비 지원 사업을 추진 중인 곳은 '여주시'가 유일하다. 지난 2018년부터 해당 사업을 추진 중인 여주시는 매년 350명가량의 임산부 1인당 총 30만원 이내 교통비를 지원한다. 산부인과가 없고 교통 취약지역 중 한 곳인 여주시에서 해당 사업이 추진돼 임산부들의 만족도가 크다고 여주시는 설명했다.

특히 도내에는 분만실이 있는 산부인과가 한 곳도 없어 원정 출산을 떠나야 하는 일도 잇따르며 양평군과 연천군, 가평군, 여주시, 포천시 등은 보건복지부가 매년 조사하는 분만취약지에 해당하기도 하는 실정(2021년 10월1일자 2면 보도=경기도내 산부인과 '분만 포기' 속출… 산모들 원정 출산 떠난다)이다. 서울시와 비교했을 때, 교통비 지원 사업이 절실한 지역 중 한 곳이 경기도인 셈이다.

화성시에 거주하는 30대 임산부 A씨는 "임신 초기에는 2주에 한 번씩 정기검진을 가야 한다. 임신 기간 중 산부인과에 최소 15번 정도는 가야 하는데, 몸이 무거워지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쉽지 않다"며 "주로 택시를 타거나, 자차를 이용해야 하는데 교통비가 지원되면 경제적 부담이 낮아질 것"이라고 토로했다.

민선 8기 열린 도지사실 '도지사에게 바란다'는 안건으로도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이 올라왔다. 글을 올린 민원인은 "지난해까지 서울에 살다가 광명시에 신혼집을 얻어 임신 중인 신혼부부다. 서울로 출퇴근하는데, 도는 아직 임산부 교통비 지원이 불가하다"면서 "도가 오히려 교통비 부담이 심한데,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했다.

여기에 더해 민선 8기 정책 우수제안자 11명 중 3명도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을 제안했다. 지난 15일 열린 '맞손토크'에 정책 우수제안자들이 초청됐는데, 이 자리에서 김동연 지사는 "우수 정책제안을 담당 부서와 함께 들여다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도에서도 해당 사업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다.

도 관계자는 "서울시에서 추진하면서 도에서도 해당 사업이 필요하다는 요청이 많이 들어온다"면서 "해당 사업 추진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다. 관련 조례도 마련해야 하고 사각지대는 없는지도 면밀하게 살펴 도민한테 도움되는 사업으로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