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출.jpg
동두천일반산업단지에서 나오는 염색폐수가 세계문화유산 한탄강 지류인 신천으로 흘러들어 가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경기도가 한탄강 색도와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8월 1일자 1면 보도=경기도 "한탄강 색도 개선, 실효성 있는 정책·사업 지속해서 노력")을 마련하기 위해 섬유 사업장 관계자와 전문가 등이 참여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논의된 방안을 바탕으로 도가 내년 수질개선 지원사업 추진 방향을 설정할 계획이다.


도는 27일 양주시 경기섬유종합지원센터에서 경기북부 폐수 배출사업장 관계자 및 전문가 참여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내년도 수질개선 지원사업에 대한 전문가, 기업 등 관계자들의 의견을 듣고 사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도 및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북부 중소기업 대표, 수질 전문가 등 총 15명이 참석했다.

이날 기업대표들은 내년부터 환경오염방지시설 지원비용을 상향해줄 것과 자부담 비율을 완화해달라고 건의했다. 또 전문가들은 오염부하량이 높은 섬유·피혁·식품 등의 제조업에 집중적으로 지원을 펼쳐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111.jpg
지난 22일 양주시 신천공공하수처리장에서 쏟아진 검붉은 물이 세계문화유산 한탄강 지류인 신천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경인일보DB

앞서 경인일보는 한탄강 유역에 섬유업체들이 집중 밀집해 있지만, 오염물질을 처리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시설과 지원 등이 부족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에 도는 제안된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검토해 '2023년 수질개선 지원사업' 추진 방향에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도는 기업 자부담 비율을 기존 30%에서 10%로 줄이기 위해 환경부에 국비 지원을 건의한 상태다. 환경부에서도 '산업폐수 관리정책 선진화 연구' 용역을 통해 국비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종일 북부환경관리과장은 "경기북부는 재정이 열악한 영세사업장이 많이 분포한 만큼, 노후 환경오염방지시설에 대한 교체와 개선이 시급한 지역"이라며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고, 기업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도록 지속해서 사업을 발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