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젊은 주거 취약 계층을 위한 청년주택을 역세권 중심으로 공급해야 한다는 인천연구원 제언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이 17일 발표한 정책연구과제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지원을 위한 정책 방향' 보고서를 보면, 인천 역세권(역 출입구 반경 500m) 지역에서 청년층이 입주할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은 7천908가구로 인천 전체 공공임대주택의 8% 수준이다. 대부분 매입임대주택이다. 역세권 내 매입임대주택 중 인천시 또는 iH(인천도시공사)가 공급한 주택은 1천447가구(전체 대비 1.5%)로 미미한 실정이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청년층의 공공임대주택 입지 선호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역세권이라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교통비 절감과 주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역세권 지역 청년형 공공임대주택 공급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대학생·사회초년생·신혼부부 등을 묶은 청년층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주택·자산 가격 상승, 소득 불안정, 금리 증가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전세사기 피해 등으로 주거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상황이라는 게 인천연구원 설명이다. 


교통비 절감·주거 안정 '가장 선호'
市, 조례 제정·재정 지원 등 나서야


인천시는 행복주택과 매입임대주택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청년주택 공급 정책과 조례 등 사업 추진 근거를 마련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적극적인 청년주택 공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보고 있다.

연구진은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을 위해 인천시가 가칭 '청년주택 공급 조례'를 제정해야 하며, 청년층에 특화한 주택 공급을 위한 재정 지원과 정책 기본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역세권 청년주택 확보를 위한 개발사업에서의 용도 상향이나 용적률 인센티브, 행정 절차 간소화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인천연구원 기윤환 선임연구위원은 "청년층의 주거 안정과 청년 인구의 인천 유입을 위해선 수요에 부합한 역세권 지역 청년형 공공임대주택 공급이 필요하다"며 "인천시는 조속히 청년주택 공급 기준, 조례 제정 등 근거 마련과 함께 정책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