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지난 2004년부터 오정구 대장동 소각장 내 재활용품 선별작업장을 운영 중인 가운데 일반 가정에서 수거된 재활용품 절반 이상이 쓰레기로 버려지면서 해마다 적자가 수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는 최근 '재활용선별장 민간위탁 운영에 대한 용역보고회'를 갖고 내년 1월부터 민간업체에서 운영토록 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12일 시에 따르면 시 전역에서 수거되는 재활용품은 한 해 평균 1만4천~5천여에 달하지만 해마다 반입량에 비해 선별 매각량은 점점 줄어들어 인건비와 각종 경비 등 선별작업장 운영 예산으로 연간 18억원이 투입되는 데 반해 재활용품 선별 매각 대금은 13억~14억원대로 4억~5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일 열린 용역보고회에서 한국경제조사연구원은 "부천시가 재활용선별작업장을 운영하면서 총 지출액이 18억4천여만원에 달하는 반면, 재활용 판매금액은 13억8천여만원에 불과해 연간 4억6천여만원의 손실을 보고 있다"며 "재활용선별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민간위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특히 "최근 2~3년간 청소업체에서 수거해 온 재활용품 중 53%가 이미 민간업체에서 수거해 간 후 남은 잔재물로 처리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위탁업체에서 재활용판매 수입금으로 운영비를 충당토록 하는 독립채산제 방식이 적절하다"고 덧붙였다.
시는 그러나 성남시를 비롯해 일부 지자체에서 공개입찰을 통해 재활용업무를 위탁받은 업체와 수거 업체와의 갈등으로 결국 도산에 이르는 경우가 있었던 바, 민간위탁으로 초래될 수 있는 부작용을 면밀히 검토한 후 최종적으로 결정을 내린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번 용역결과를 토대로 다음달 열릴 시의회에서 재활용선별장 민간위탁조례를 상정, 내년 1월부터 민간위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재활용품 선별작업장 적자 '골머리'
수거량 절반 쓰레기 … 인건비·운영자금도 안나와… 부천시 내년부터 민간업체 위탁 검토
입력 2008-08-12 21: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8-08-13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