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준공… 하역기능 4배 늘어
수출 10억 달러 돌파 1978년 새기록
항만공사-해수청, 50주년 기념행사
“오늘 우리는 대자연에 대한 도전에서 인간 의지의 또 하나의 승리를 기록했다. 인천항 갑문은 우리 국력의 상징인 동시에 조국 근대화를 앞당기는 우렁찬 쾌거다.”
1974년 5월10일 인천항 갑문 준공식에서 고(故) 박정희 대통령은 이렇게 강조했다. 인천항 갑문이 우리나라 산업 발전에 디딤돌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낸 것이다.
최대 10m에 달하는 인천 앞바다의 조수간만의 차를 극복하기 위해 당시 동양 최대의 크기로 만들어진 현대식 인천항 갑문은 50년 전 박정희 대통령이 공언한 대로 우리나라와 세계를 잇는 관문 역할을 하면서 국내 산업 발전을 이끌었다.
1962년 시작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경인 공업지역의 원자재와 소비재 물동량이 급격히 늘어나자 정부는 약 200억원의 예산을 들여 인천항 갑문 공사에 착수했다. 1960년 46만6천259t이던 인천항 물동량은 1969년 279만8천t으로 600%나 급증했다. 당시 우리나라 1년 국가 예산이 5천억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정부에서 의욕적으로 갑문 건설을 추진한 셈이다.
일제강점기인 1918년 지어진 갑문이 있었지만, 최대 4천500t급 선박만 접안할 수 있었다. 큰 선박이 들어오면 작은 배를 붙여서 인천 앞바다에서 1차로 화물을 내린 뒤, 항구 근처에서 또다시 하역해야 하는 불편함이 컸다.
8년 간에 공사 끝에 1974년 5월10일 마침내 현대식 갑문이 만들어지게 됐다. 일제강점기에 사용하던 옛 갑문은 바닷속에 가라앉았다. 현재는 인천 내항 1부두 주변에서 일부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현대식 갑문이 생기면서 인천항은 국내 최초 컨테이너 하역 전용 부두인 4부두를 포함해 2부두와 3부두 등 5만t급 이상 대형 선박들이 동시에 접안해 하역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다. 하역 능력은 기존보다 4배 많은 627만t으로 늘었고, 항상 일정한 수심을 유지하는 수면적 151만㎡ 규모 내항도 형성됐다.
갑문 축조와 내항 확장으로 안정적인 하역 환경이 조성되면서 인천항의 수출도 증가하기 시작했다.
인천항만공사가 2008년 편찬한 ‘인천항사’를 보면 인천항의 수출액은 1973년 3억1천791만3천 달러에서 갑문 완성 이듬해인 1975년 5억9천941만8천달러로 크게 늘었다. 1978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대한토목학회는 이런 가치를 인정해 지난 3월 올해 대한민국 토목문화유산으로 인천항 갑문을 선정하기도 했다.
인천항만공사와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지난 50년 동안 항만도시 인천의 중요 인프라 역할을 해온 갑문 준공을 기념하기 위해 10일 갑문 일대에서 기념행사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서는 준공 50주년 기념 조형물 제막식과 함께 갑문 근무 퇴직자 20여명에 대한 감사패 전달식이 진행됐다.
인천항만공사 이경규 사장은 축사를 통해 “50년 전 인천항 갑문이 준공된 것은 우리나라 경제 역사에 큰 변곡점 중 하나였다”며 “갑문 개통 이후 우리나라는 비약적인 산업발전과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루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근대화·산업화에 있어 갑문의 역할을 빼놓을 수는 없을 것”이라며 “인천항 갑문이 우리나라 산업발전에 끼친 역사적 의의가 국민에게 오래도록 기억되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