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앞바다 해양쓰레기 관리에 '인공위성·드론 동원'

입력 2023-07-16 20:30 수정 2023-07-16 20:44
지면 아이콘 지면 2023-07-17 3면

DB용 인천시청 전경
인천시청 전경. /경인일보 DB

 

인천시가 인공위성과 드론, 음파탐지기를 활용해 인천 앞바다 곳곳에 흩어진 해양쓰레기를 입체적으로 관리하는 사업을 본격화한다.

인천시는 이달부터 옹진군 자월도 일대에서 '스마트 해양환경 관리 시스템'을 가동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해 해양수산부가 주관한 '지역 밀착형 탄소중립 오션 뉴딜' 공모에 선정돼 시스템 구축을 마치고 올해부터 본격화하게 됐다. 인천시와 옹진군은 2025년까지 국비 70억원을 지원받아 이 사업을 추진한다.

인천시는 인공위성을 통해 자월도 해안과 주변 해역에 분포한 해양쓰레기를 주기적으로 관측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드론을 띄워 쓰레기의 성상과 규모 등을 세밀하게 탐지할 계획이다. 위성과 드론으로 관측한 정보는 인천시가 운영하는 스마트 해양환경관리센터에서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해 옹진군과 해양수산부 등에 전달한다. 


市, 자월도에 스마트 시스템 가동
정밀 탐지·AI 분석 해수부에 전달


그동안 인천시의 해양쓰레기 수거·정화 활동은 해양환경 정화선을 운영하는 작업자들의 현장 경험과 노하우로 진행했다. 이번 시스템 도입은 해양쓰레기를 입체적으로 탐지해 수거·정화 사업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인천시는 우선 해양쓰레기 중 플라스틱 쓰레기 관리·수거를 중점으로 시스템을 운영하기로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공위성과 드론을 활용한 관측·탐지를 통해 해양쓰레기가 어느 지역에 얼마나 분포하는지, 조류나 계절 특성에 따라 쓰레기가 많은 시점은 언제인지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며 "인천시와 옹진군의 해양환경 정화선이 최적 시간대와 경로로 운항해 쓰레기 수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화선 최적경로 수거효율 극대화
국비 마무리 2025년이후 전역 확대


인천시는 올해 자월도에서 시스템을 운영하고 2025년까지 자월도에서 가까운 덕적군도, 영흥도까지 사업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인천시는 국비 지원이 마무리되는 2025년 이후에도 자체 사업으로 스마트 해양환경 관리 시스템을 인천 전역으로 확대 적용한다는 목표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의 최종 목표는 서해 5도 지역까지 해양환경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박경호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