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 수출업계, 온라인 판매 비중 커진다

입력 2024-05-26 19:30 수정 2024-05-26 19:33
지면 아이콘 지면 2024-05-27 13면
바이어와 대면 거래 방식 벗어나
홈페이지 주문 시스템 도입 늘어
인건비 등 가격 경쟁력 약점 보완
성능 보증·점검 등 전문센터 필요

중고차
연간 6조원대 규모로 성장한 국내 중고 자동차 수출시장에도 온라인 판매 시스템이 서서히 도입되고 있다. 사진은 인천 연수구 옛 송도유원지 일대에 조성돼 있는 중고차 수출 단지. /경인일보DB

연간 6조원대 규모로 성장한 국내 중고 자동차 수출시장에도 온라인 판매 시스템이 서서히 도입되고 있다.

인천 연수구에서 중고차를 수출하는 세원무역 박영화(한국중고차수출조합 회장) 대표는 지난해부터 전체 판매량의 90%가량을 온라인으로 판매하고 있다. '오토위니' '비포워드' 등 중고차 수출 전문 플랫폼을 이용하거나 해외 바이어(구매자)들이 업체 홈페이지에서 차량을 보고 주문하는 방식으로 거래한다.

그동안 중고차 수출은 차량이 세워진 야적장을 방문한 바이어들과 직접 대면해 판매하는 일종의 '마당장사' 방식이 주를 이뤘다. 연수구 옛 송도유원지 일대에 대규모 중고차 수출단지가 조성된 것도 많은 차량을 세워둘 넓은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영업 방식은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면서 조금씩 바뀌고 있다. 국내 최대 중고차 수출단지인 인천 연수구 일대 업체들도 12~13%가량을 온라인을 통해 거래하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 설명이다.

중고차 수출 업계에선 코로나19로 인해 외국 바이어들의 입국이 어려워지면서 온라인을 통한 매출이 증가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다. 중고차 수출 전문 플랫폼 비포워드 관계자는 "바이어들이 아예 우리나라에 들어오지 못하는 상황이 되면서 그동안 온라인 판매에 거부감을 가졌던 중고차 수출 업계 관계자들이 영업 방식을 많이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중고차 수출 업계에 외국인들이 많이 진출한 것도 온라인 판매가 늘어난 이유다. 외국인들은 국내 업체와 비교해 인건비가 저렴한 탓에 가격 경쟁력에서 국내 업체들이 우위를 점하기 어렵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말한다. 중고차를 온라인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값이 싼 부지에 차량을 보관하고 있다가 판매 일정에 맞춰 출고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만, 업계 관계자들은 온라인 중고차 수출을 늘리려면 차량의 성능을 정확히 보증하고 점검하는 전문센터 설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인천 중고차 수출 업계 관계자는 "국내 중고차가 많이 수출되는 중동 지역 바이어들은 차량을 직접 보고 구매하는 것을 선호한다"며 "코로나19 시기에는 어쩔 수 없이 온라인으로 차량을 사는 사람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입국이 자유로워지면서 온라인 중고차 수출 물량도 다소 정체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영화 회장은 "영세 업체들도 온라인 영업 방식을 도입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 등이 필요하다"며 "온라인 판매 환경에 맞춰 중고차 성능 점검센터를 구축하는 등 시설 개선도 지원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김주엽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