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칼럼

절망 넘어 희망으로

불황·태안기름유출·숭례문화재… '다사다난' 화합·애국심으로 극복
   
정목일 (수필가)
2008년은 너무 가혹했다. 미국으로부터 발진한 전대미문(前代未聞)의 금융 태풍은 전 세계를 경제공황과 위기로 내몰았다. 이 태풍의 가공할 공포와 위협은 이제 시작일 뿐,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데 있다. 경보도 없이 들이닥친 경제 태풍은 우리 삶을 사정없이 흔들고 있다. 코앞에 닿은 2009년의 설계와 기대를 깡그리 깨트려버리고, 한해를 어떻게 보내야하는가, 한숨과 걱정 속에 떨게 만든다. 세상에 이런 일이 닥칠 줄은 상상도 하지 못했다.

2008년은 큼직한 사건들이 많았다. 돌발적이고 지금까지 예상하지 못했던 일들이 벌어졌다. 충격적인 사건들이 정신을 차릴 수 없게 요동쳤다.

금년 시발부터가 시커멓게 변해버린 태안반도의 갯벌과 바다를 씻어내는 일부터 시작됐다. 청정 바다가 시커먼 기름바다로 변해버렸다. 생명의 보고였던 갯벌이 검은 기름으로 뒤덮여 죽음의 바다가 돼버리자 온 국민들이 자원봉사자로 나서 하얀 면(綿) 옷가지와 이불깃으로 기름을 닦아내었다. 갯벌과 바다의 검은 기름을 한 장씩 타월로 얼굴과 마음을 씻어내듯 닦았다. 국민들은 눈물을 흘리며 바다가 오염되고 생명을 잃은 것에 깊은 반성과 함께 마음을 닦아냈다.



국보 1호 숭례문의 화재와 소실은 국민들에게 경악을 안겨준 사건이었다. 하나의 문화재가 사라졌다는 허망함만이 아닌, 민족의 자존심과 문화 정체성에 치명적인 상처를 안겨 주었다. 국민들이 TV로 숭례문 전소 장면을 시청하면서, "이럴 수가!" 가슴을 치면서 통탄하고 울분을 참지 못했다. 국보 1호를 잃은 것은 민족정신과 민족문화에 대한 무관심의 결여가 가져온 참변이었다. 민족 자존심의 상징물이 어이없게도 국민들이 TV 생중계를 보는 중에 허물어져 내리는 것을 목격해야 했다.

쇠고기파동으로 시작된 촛불시위는 무려 100일간이나 한국사회를 마비시켰다. 촛불군중이 광화문과 시청 앞을 메우고 경찰과 시위군중의 대치로 한국의 중심이 무질서와 함성으로 난장판으로 변하고 말았다. 촛불시위는 국회와 행정도 무위로 만들었다. 국회도 없었고, 정치도 실종되었다. 나라의 원로도 보이지 않았고, 타협과 모색도 없었다. 경찰의 물 대포 앞에 유모차가 등장했다. 극과 극의 대치와 충돌이 있을 뿐이었다.

2008년은 국민적인 기대와 희망의 팡파르가 울린 가운데 시작됐다. 이명박 대통령의 새 정부가 출범하는 해여서 큰 기대와 전진을 바랐다. 하지만 1년의 결산은 구겨지고 멍든 시련의 자국들로 채워졌다. 2008년의 대형 사건들은 대비 부족과 안일한 사고 풍조가 빚어낸 재앙이었다.

더욱 기막힌 일은 2009년에 대한 공포이다. 금년보다 가혹한 시련과 고통이 기다리고 있다. 우리만 겪는 경제위기가 아니다. 세계의 모든 나라들이 경제난국을 어떻게 극복하느냐 하는 것이 내년의 화두요, 당면 과제다. 나라와 민족마다 있는 힘을 다해 세계에 불어 닥친 경제 한파를 어떻게 견뎌낼 것인가에 골몰하고 있다. 이 재난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지금까지 애써 쌓아온 경제고속성장의 탑을 무너뜨리게 된다.

지금 우리는 역사와 민족공동체의 역량을 결집하여 난국 극복에 모든 힘을 모아야 한다. 위기와 난국 때마다 민족애와 애국심으로 일치단결을 보여주었던 우리 민족이 아니었던가.

극단적인 개인주의, 이기주의를 버리고 '우리'라는 민족공동체의 횃불 아래 두 주먹을 불끈 쥐고 경제 난국을 이겨 나가야 한다. 기름으로 뒤덮인 태안바다의 갯벌과 바다를 전국 수백만 자원봉사자들이 찾아와 자신이 입었던 속옷이나 이불 천으로 닦아내듯 내일의 희망을 찾아내야 한다. 숭례문을 잃고서 깊은 반성과 각오로써 민족의 영혼과 애국심을 다졌던 것처럼 우리는 한마음이 돼야 한다. 지금이야말로 가난과 소외와 고통 속에 신음하는 이웃을 돕는 일에, 경제 한파를 녹이는 일에, 다함께 마음과 실천의 촛불을 켜들 때다.

2009년에는 세계 여러 나라의 역량이 새로이 드러날 것이다. 우리는 2009년을 희망과 중흥의 새 찬스로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 2008년의 교훈을 거울삼아 민족화합과 애국심을 바탕으로 '동방의 해뜨는 나라'로 만들어야한다. 이것이 지금 우리에게 부과된 시대적 임무이다.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