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칼럼

녹색성장과 과학기술

'탄소배출' 화석연료시대 곧 마감… 재생에너지 개발은 미래투자
   
▲ 백홍열 (前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이명박 정부의 주요 정책중 하나가 저탄소 녹색성장이다. 물론 저탄소 경제와 경제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확실한 것은 우리가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녹색성장이 구호성으로 철학 없이 포장돼 짜맞추는 식으로 추진된다면, 결과적으로 국력낭비가 될 수밖에 없다. 녹색성장은 대한민국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삶의 방식과 사회경제 구조를 바꾸는 국가 장기 전략으로 추진돼야 한다.

45억년 전 지구가 생겨난 이래, 지구의 모든 생명체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지구의 탄소순환시스템에 의해 생명을 유지해 왔다. 즉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의 CO2를 분해시켜 산소와 탄소유기체를 만들고, 이 탄소유기체를 생물이 흡수 산화시켜 에너지를 이용하고 CO2는 다시 공기 중에 돌려보내는 순환시스템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흡수 배출되는 CO2가 균형을 이루며 지구 생태계가 유지되어왔다. 그러나 약 오만년 전 나타난 우리 인류는 만 년 전 빙하기가 끝나자 농경을 바탕으로 문명을 만들고 또 불을 사용하며 지구 생태계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백여 년 전부터는 산업혁명을 통해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진입하며 지구에 상당한 변화를 초래하였다. 특히 최근 백년간은 과학기술에 의해 문명이 폭발하며 우리 인류의 삶과 지구 생태계는 급격한 변화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되었다.

가장 큰 변화는 과학기술 문명에 의해 대부분의 인류가 잘 살게 된 것이고, 또 그 결과 지구 생태계 전체가 심각한 영향을 받기 시작한 것이다. 사실 우리 인류는 오랫동안 어렵게 살아왔다. 우리가 동굴에서 나와 산업혁명을 일으키기 전까지 우리 인류의 일인당 평균소득은 100$ 이하라 추정된다. 그러나 현재 인류의 일인당평균소득은 약 6천$ 수준으로, 아마 지금 중산층이 옛날 왕 보다 더 잘 살것이다. 그리고 이런 풍요한 삶과 경제 성장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이에 따른 엄청난 화석연료 사용으로 지탱되어 왔다. 현재 인류가 하루에 사용하는 에너지의 양은 약 4천억㎾h 이고 이중 70% 이상이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이다. 특히 석유가 차지하는 비중이 제일 커서 전체 에너지 소비의 30%에 달한다.



사실 화석연료는 수억 년 동안 우리 지구가 태양에너지를 탄소유기체의 형태로 축적한 것이다. 이렇게 저금한 에너지를 지금 인류가 최근 백 년 동안 대책 없이 마구 퍼 쓰고 있다. 지구가 탈이 나는 것은 당연하다.

문제는 두 가지다. 첫째는 이렇게 갑자기 태운 화석연료는 그대로 대기 중 CO2 농도를 증가시켜 지구의 기후와 환경을 변화시킨다는 것이고, 둘째는 우리 문명을 지탱해 왔던 화석연료가 금세기 말까지 바닥이 난다는 것이다. 현재 채굴 가능한 석유 매장량은 1천억t 정도로 추정되며 현 추세로 약 30년간 쓸 수 있는 양이다. 더구나 지금처럼 싼 가격에 화석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시대는 곧 끝날 수밖에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 벌어질 일은 명확하다. 모든 국가는 기본적으로 자기가 배출한 탄산가스는 자기가 흡수하여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탄소배출권을 사도록 강요당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 10위의 에너지 소비국이면서도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눈앞에 다가온 저탄소 체제와 에너지 문제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에게 녹색성장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그러나 녹색성장은 그 특성상 경제정책이 아니라 과학기술로 해결해야 할 수밖에 없다. 먼저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술이 개발돼야 하며, 사회경제 구조도 이에 맞추어 바꿔져야 한다. 더 중요한 것은 화석연료를 대신할 재생 에너지 개발이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태양에너지 활용기술이다. 이와 병행해서 안전한 원자력 기술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핵융합 에너지 개발도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개발 없이는 저탄소 경제와 경제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은 불가능하다.

녹색성장은 우리의 생존과 미래를 위한 투자이다. 장기 전략과 계획을 가지고 또 과학기술이 중심이 되어 추진해야만 성공할 수 있다.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