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칼럼

전·현직대통령의 가족장 결의대회

우리는 장례식마저도(?)… 귀감이 되겠습니다
   
▲ 윤방부 (가천의과학대 부총장·석좌교수)
[경인일보=]유난히도 무더운 날씨다.

대개 광복절이 지나면 그래도 아침저녁으로 선선함을 느꼈는데 최근에는 날씨와 더불어 여러 가지 사회적 현상과 이상하게도 '주검'이라는 단어가 일상생활을 압도하다 보니 더욱 지루하고 무덥다.

꽤 오래 전 일이다. 전남 광양에서 강연을 하고 나서 몇 명의 30대 청년들이 강연을 감명 깊게 들었다고 하면서 인사를 했다. 그러면서 윤 교수 같은 분이 꼭 도와줘야 할 게 있다고 한다. 얘기인 즉슨 자기들은 한국의 장례문화를 개선하기 위해서 민간운동을 벌이고 있는 단체의 회원이라고 하며 필자의 동참과 도움을 요청하였다.



그후 그들은 간단한 인사편지와 왜 그들이 우리나라의 장례문화를 바꾸어야 하는지, 또 현재 우리나라의 장례실태는 어떤지 등등이 기록된 자료를 보내왔다.

중국여행을 했을 때의 일이다. 안내인이 여러 얘기를 하는 중에 중국에는 봉분이 없다고 했다. 중국처럼 유교문화를 숭상하는 나라가 이게 웬일이냐 싶었다. 풍수지리설의 원조인 나라, 용(龍)의 발톱이 어쩌니 저쩌니 하면서 떠드는 나라가 아닌가. 중국은 연간 평균 사망자가 600만명에 달해 매년 엄청난 규모의 땅, 그 중에도 명당이라고 일컫는 요지가 묘지로 변했다고 한다.

그러나 모택동이 이끄는 혁명정부가 1956년 화장을 법으로 정하고 시신을 관에 넣어 매장하는 토장제도를 금지하는 '장묘문화혁명'을 시작했고, 이때부터 40여 년이 지난 현재 중국 어디에서도 봉분들을 한 무덤은 거의 볼 수 없다고 한다.

특히 1979년에 사망한 주은래 전 국무원 총리는 유언에 따라 화장을 했고 그 유골이 비행기로 전국에 뿌려졌고, 1989년 호요방 총서기가 사망했을 때 부인의 희망에 따라 화장된 유골이 강서척지에 뿌려졌다. 중국의 국립묘지인 베이징 '팔보산 혁명공묘'는 지도자, 애국자, 과학자, 문학가, 예술가, 고급기술자 등 3천여명이 묻혀있고 묘지크기는 1~2㎡로 모두 납골묘다.

우리는 최근 2~3개월 사이에 두 전대통령(前大統領)의 운명을 경험하였다. 한 분은 '자살(自殺)'로 운명하였고 또 한 분은 의학적으로 '병사(病死)'하였다.

어린 시절 초대대통령의 생일날이 되면 경기여고와 함께 내가 다니던 중고등학교가 동원되어 서울운동장에서 생일을 찬양하는 합창을 하곤 하였다. 또 그 분은 우리나라 사람 중에서 공부도 제일 잘하고, 훌륭하며, 우리를 존재케 하는 분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4·19혁명으로 그 분이 하야(下野)할 때 고등학교 3학년이었던 필자는 모 신문사가 불에 타는 것을 보고 박수를 치고, 내가 믿었던 그 분이 최악의 지도자(?), 독재자(?)였기에 결국 하야해서 '하와이'로 망명하였다는 언론보도를 접하고 어리둥절하였다.

대통령이 운명했을 때 어떤 장례를 치러야 할까! 법률적으로 국장, 국민장, 가족장 등이 있다고 한다. 최근에 운명한 전직대통령 두분 중 한 분은 국민장으로, 화장하고 고향마을로 갔고, 또 한 분은 특별하니 국장으로 서울 현충원에 모셨다. 장례가 국장이냐, 국민장이냐를 따지고 싶지는 않다.

앞으로도 계속 대통령은 현재대로라면 5년에 한 명씩 나올 것이고, 또 그들이 인간인 이상 운명할 수밖에 없지 않는가. 전직이든 현직이든 대통령의 주검에 대한 장례형식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은 없으나, '죽으면서까지 ○○○대통령은 국민의 귀감이 됐다'는 이 한마디는 듣고 싶다. 한국의 주은래, 호요방은 언제 오실까?

그리고 광양에서 만났던 장례문화를 바꾸기를 원했던 그 젊은이들이 지향하고 희망하고 또 갈망하던 말, '우리나라의 대통령을 했던 분이나 대통령이 정말 장례문화의 귀감이 되었으면' 하던 그 바람들이 생각날 뿐이다. 현직이든 전직이든 대통령의 장례 형식에 대한 이러한 기사가 보고 싶다.

영어로 한번 쓸까? "He deserved it, but he didn't." 이 한마디를….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