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68주년 경인일보 뿌리를 찾다

시민단체 마련 토론회 불참 이유… '특정언론 주장 편드는 토론회 안돼'

경인일보 1945년 창간 선언 후

피해자 인식 일방통행식 우려 탓
경인일보는 23일 '인천 언론사의 재조명과 지역언론의 현주소'란 주제의 토론회에 불참했다.

이 토론회는 지난 9월 '경인일보의 창간 68주년 선언' 이후 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이 마련했다.

경인일보가 그동안 공표해 왔던 '1960년 창간'에서 인천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대중일보의 역사를 이어 '1945년 창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선언을 했는데, 여기에 반대하는 일부 목소리가 있었다.



그 반대론은 1973년 3사 통합의 주역이었던 인천신문 출신 일부 인사들과 통합의 피해자격인 경기매일신문·경기일보 임직원들의 일부 유족들을 중심으로 나온다.

인천신문 출신은 그동안 이어왔던 존재감 상실에서, 경기매일과 경기일보 일부 유족들은 통합 신문에 참여하지 못한 피해의식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반대 목소리가 있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경인일보는 대중일보가 원뿌리임을 천명했다.

그것은 경인일보에 일제 강점기를 넘어 해방 직후 첫 경인지역 언론이라는 자랑스런 역사와 군사 정부에 의한 언론 통합의 아픔이 고스란히 서려 있고, 경인일보가 그 역사를 계승할 때 경인언론의 역사가 생동감있게 살아있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날 토론회에서는 일부에서 경인일보를 '가해자'로 둔갑시키고, '피해자' 인식이 강한 유족들의 주장이 일방통행식으로 제기됐다.

토론회 준비 과정에서 "자칫하면 인천일보의 주장에 편승할 수 있는 토론회가 된다"면서 이런 우려를 전달했지만 받아들여지지않아 경인일보는 토론회에 참여할 수 없었다.

이 우려는 현실이 되어 나타났다. 인천일보가 토론회가 열린 23일자 1면에 '경인일보의 창간 68주년 선언'을 정면으로 비난하는 장문의 기사를 실은 것이다.

그리고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 기사의 내용을 뒷받침하는듯한 발언이 나오기도 했다.

따라서 경인일보는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일부 주장에 대한 반론 입장에서 1면과 3면에 특집 기사를 싣는다.

/목동훈기자

경인일보 포토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

목동훈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