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성단] 김장과 붕어빵

2021112301000896900044021

한국인 밥상의 기본은 밥과 김치다. 김치는 한국인, 한국문화를 표상하는 식품이다. 조선 헌종 때 다산 정약용의 둘째 아들 정학유가 지은 '농가월령가' 가운데 시월의 노래 속에도 김치와 김장 얘기가 나온다.

김치의 역사는 기록상으로는 상고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디히', '저(葅)'라는 표현이 그것이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저해(葅醢)'나, '고려사'에 등장하는 염지(鹽漬), 침채(沈菜), 침저(沈葅) 등이 바로 김치를 뜻하는 말들이다. 김치라는 말은 '침채'란 한자어에서 나왔거나 김치에 가장 가까운 한자식 표현인 '침채'를 가차(假借)했을 가능성도 있다. '혼몽자회'와 '두시언해'에도 김치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 바, '동저(冬葅)'가 바로 지금의 동치미다.

또 우리 식탁의 단골메뉴인 깍두기는 조선말기 요리서인 '시의전서'에 무를 네모지게 썰어 담그는 김치인 '젓무'라는 요리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깍두기'라는 지금의 표현은 1923년 11월10월자 '조선일보' 기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김장의 어원은 '침장(沈藏)'에서 나왔다고 하는데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과 정도전의 '삼봉집'에도 김장에 대한 언급이 있다. 김장은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도 등재되어있는 우리 고유의 문화이며, 풍습이다.

김장과 함께 우리 일상문화를 대표하는 문화는 겨울철의 국민 간식 '붕어빵'이다. 이 붕어빵이 요즘 물가상승으로 인한 재료비 인상과 노점단속에 코로나19까지 겹쳐 점점 만나기 어려워지고 있다. 그래서 오죽하면 붕어빵 파는 노점 인근 지역을 가리키는 '붕세권'이라는 말도 나왔고, 붕어빵 파는 집을 검색할 수 있는 앱마저 등장했다.

그런데 물가상승으로 인한 비용부담과 코로나에 '귀차니즘'까지 겹쳐 김장을 포기하고 사 먹는 가구들이 늘어나고 있다. 코로나에 경제도 어려워지고 분위기가 심상치 않은데, 김장과 붕어빵마저 사라져 가는 문화가 되어버리면 어쩌나 싶다. 따끈한 흰 쌀밥에 김치 한 점 척 올려놓고 밥을 먹고, 출출할 때 한 입 베무는 붕어빵은 우리의 소울(soul) 음식이거늘 그간 우리가 당연한 것으로 알고 누려왔던 일상문화가 어쩌면 당연한 것이 아니고 어마어마한 축복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이러다 붕어빵이 멸종위기종 1급 국민 간식이 되는 게 아닌지 모르겠다.

/조성면 객원논설위원·문학평론가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