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민호 칼럼

[방민호 칼럼] 코로나 병동에서 생각한 삶과 역사

방민호_-_기명칼럼필진.jpg
방민호 문학평론가·서울대 국문과 교수
코로나19에 걸려 꼬박 열흘을 중환자실에서 보냈다. 중증환자들만 끼는 고유량 산소호흡기에 의지해서 살지 죽을지 모르는 시간을 보내며 인생은 참 허무하다는 생각을 곱씹었다.

삶과 죽음을 다투는 사나흘이 지나 완연히 회복세로 돌아서면서 친구라고는 유튜브밖에 없었다. 잠들어 있거나 비몽사몽으로 깨어 있거나 간에 창밖에 무음으로 돌아가는 세상과 연결되는 수단은 휴대폰 유튜브밖에 없었던 것이다.

사람이 달라진 것 같았다. 대통령 선거에 관련된 뉴스들은 아예 관심이 가지 않았다. 딴 세상 얘기 같았던 것이다.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이 수도 카불에 입성했다고 하고, 미국의 바이든 대통령이 미군 철수를 얘기한 지 불과 몇 달만에 정부가 무너졌다고도 했다. 그런 것들도 '내 세상' 바깥의 일만 같았다. '내'가 지금 당장 살고 죽는데 대통령 선거든 아프가니스탄이든 다 먼 얘기들처럼 들렸던 것이다. 


감염후 꼬박 열흘… 죽다 살아났다
바깥에선 대선·탈레반등 역사속 삶
내가 죽는데 병상에선 먼나라 얘기


꿈을 꾸듯 시간이 흐르는 사이에 유튜브는 저절로 자기가 보여주고 싶은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병자호란 때 이경석이라는 문인이 있었다고 했다. 주전파들이 '득세'하는 가운데 인조 왕이 남한산성에서 '농성'을 하다시피 하다가 끝내 견디기 어려워 세자와 함께 삼십 리를 걸어서 삼전도에 나아가 청 태종에 머리를 조아리고 항복하기에 이른다. 그네들은 자기 나라 황제의 공덕을 기리는 글을 써서 비문으로 남길 것을 요구하는데 이때 이 삼전도비를 쓴 사람이 이경석이라고 했다.



여러 신하들이 쓴 글 가운데 그중 이경석이 쓴 글이 과장이 적다고 해서 청나라에 보냈지만 그들이 화를 내면서 글을 고칠 것을 요구한다. 이에 인조가 이경석을 '타일러' 조정의 명운이 달렸으니 문장을 다시 쓸 것을 명하는데, 그렇게 해서 이경석은 역사의 치욕으로 남겨진 비문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고 한다.

어려서 형에게 글을 배운 이경석은 그 형에게 쓴 편지에서 자신이 글을 배우지 않았더라면 이런 한은 남기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탄했다고 했다. 나는 병든 침상에 누워 이경석이 형에게 보내는 말을 직접 듣는 것만 같았다. 저 삼전도 비석만큼이나 가파른 벼랑을 등에 지고 사는 것 같다는 것이었다.

병상의 유튜브는 나를 또 고려 때 왕 충선왕의 이야기로 데려가기도 했다. 원나라 쿠빌라이 황제의 외손자이기도 했던 고려 26대 왕인 그는 마흔여섯 살에 당시의 토번, 그러니까 티베트로 유배를 가야 했던 것이다. 고려가 원나라의 '지배' 아래 놓여 있던 그 시대에 그는 한 나라의 왕이면서도 반년이나 걸리는 만오천리 넘어 티베트, 거기서도 포탈라궁의 라싸보다도 먼 '살사결'이라는 곳까지 유배를 갔던 것이었다.

티베트는 참으로 먼 곳이지만 당나라 때 고구려 유민 고선지가 토벌을 갔던 곳이고 통일신라 때 혜초 스님은 티베트도 넘어서 지금의 아프가니스탄 와칸 회랑을 지나 인도로 갔었다고도 한다.

꿈결에서인 듯 나는 충선왕의 길을 따라 티베트로도 가고 혜초 스님의 발길 따라 이번에 탈레반이 다시 카불을 점령했다는 아프가니스탄으로도 갔다. 그 옛날에 신라 사람들, 고려 사람들은 단순한 한반도인이 아니요 당나라니 원나라를 지나 티베트로도 가고 인도로도 갔던 국제인들이었다. 그네들의 삶은 뒤얽힌 역사적 수난 때문에 오히려 넓었고 저 대륙의 황무지와 고원을 자신들의 삶의 영역 속에 담아 두고 있었다.

돌아간다면 병실 안 허무·밖 역사를
새로만나게 하겠다 어떤 모습이든


산소호흡기에 의지해서 겨우 나아져 가는 몸으로 삶이란 과연 무엇인지 생각한다. 이경석도, 충선왕도, 혜초도 모두 한 사람의 실존적 인간이었으되 동시에 역사를 산 인간이지 않을 수도 없었다.

내가 이 병상에 묻혀 있는 한 나는 한 실존적 개체로 생사의 고비를 겪고 있으나 저 3층 음압병동 바깥에서 사람들은 대통령 선거가 어떻고 아프가니스탄이 어떻고 태풍이 어떻고 하면서 역사 속의 삶을 만나고 있었다.

돌아간다면, 저 세상 속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이 병실에 가득한 '허무'와 병실 바깥에서 살아 움직이는 '역사'가 진정으로 새롭게 만나도록 하리라. 그것이 어떤 모습이든 나는 진정으로 '나'의 삶을 살아가야 한다. 숨 가쁜 폐를 끌어안고 나는 또 한 번의 삶이 주어지기를 염원하고 있었다.

/방민호 문학평론가·서울대 국문과 교수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