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연의 영화 톡 세상톡

[이대연의 영화 톡 세상 톡] 투명한 흑백 시집: '동주'

예술가·운동가의 삶 택한 두 친구

담쟁이넝쿨처럼 얽히며 서로 지탱
2016022501001651100086621
한 청년이 잠들어 있다. 앉은 채 모로 기댄 불편한 잠이지만 그의 표정은 평온하다. 마치 고단한 사유를 잠시 내려놓은 듯이. 기차의 흔들림도 그의 수면을 방해하지 못한다. 그가 기댄 곳은 옆자리 청년의 어깨이다. 청년은 잠든 친구에게 어깨를 빌려준 채 수첩에 무언가를 끄적인다.

아마도 시일 것이다. 그의 표정 역시 평온하다. 친구가 자신의 어깨에 기대 잠든 것처럼 그는 시의 어깨에 기대 잠시 꿈을 꾸는 것인지 모른다. 주권과 말과 이름까지 빼앗긴 시대에 각자의 길을 선택한 두 청년의 평온한 한때가 기차의 덜컹거림과 함께 흘러간다.

이준익 감독의 '동주'는 윤동주의 시집을 정성스레 베껴 쓴 필사 시집 같다. 영화 속 동주가 어렵게 구한 정지용과 백석의 시를 필사하듯이 이준익 감독은 자신만의 연필로 꾹꾹 눌러 윤동주의 삶과 시를 흑백 영상으로 필사한다.



윤동주 시의 낭송과 함께 펼쳐지는 흑백영상은 오히려 투명해 보인다. 동주를 보러 갔다가 몽규를 보고 왔다는 우스갯말을 할 정도로 박정민의 연기는 단단하고 강하늘의 연기는 처연하다.

적극적인 운동가도 아니고 당대에 이름난 시인도 아니었지만 시대를 아파하고 고뇌했던 청년 동주의 삶은 친구 몽규의 삶을 통해 극적으로 드러난다. 동주가 그렇게 원했던 신춘문예에도 먼저 당선되고 연희전문의 졸업에서 우등상을 탄 것도 몽규였다.

그리고 교토제대에도 몽규는 홀로 합격하였다. 적극성과 단호함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하는 그가 동주에게는 뼈아픈 열패감의 근원이었는지 모른다. 그리고 그 때문에 더욱 시 속으로 파고들었는지도. 그러나 몽규가 기대 잠든 곳은 동주의 어깨였다.

예술가로 살고자 햇던 동주와 운동가의 삶을 선택한 몽규의 삶은 담쟁이넝쿨처럼 서로 얽히며 서로를 지탱하며 위로 뻗어나가는 듯하다.

영화의 말미에 동주는 조선말로 자신의 시집 제목을 또박또박 발음한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그때 화면 밖에서 문소리가 난다. 말이 끊긴다. 잠시 시선을 빼앗겼던 그가 다시 입술을 연다. '...시'. 이 한 음절이 큰 울림으로 다가오는 것은, 하늘이라는 부끄러움의 윤리와 시대와 역사의 바람과 이상으로서의 별이 그 속에 응축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대연 영화평론가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