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신공

[경인신공]이장우의 논술카페-(38) 대학별 실전논술(한국외대)

영어 제시문 포함 4개 유형 정형화
통계해석 문항 꼼꼼한 분석 요구

2016122601001674600081771
이장우 박문여고 교사
한국외국어대학교(이하 외대) 논술은 모두 4문항으로 출제되며, 120분 동안 200자 한 문제, 400자 두 문제, 500자 한 문제에 대한 논술문을 작성해야 합니다.

외대 논술의 특징은 문제 유형이 논지 제시형, 비판형, 비교분석형, 추론형 등으로 정형화되어 있으며, 영어 제시문이 나온다는 점입니다. 영어 제시문의 경우는 고등학생이 충분히 독해가 가능한 수준으로 제시됩니다.



다만 4번에 나오는 통계해석 문제의 경우 간단한 수치 해석을 요구하며 이를 토대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추론을 요구하기 때문에 꼼꼼하게 분석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제시문 1>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becoming an increasingly growing topic of conversation both in the workplace and outside of it. Simply put, this is the concept of basically connecting any device with an on and off switch to the Internet. This includes everything from cell phones, coffee makers, washing machines, headphones, lamps, wearable devices and almost anything else you can think of. The analyst firm Gartner says that by 2020 there will be over 26 billion connected devices. Some even estimate this number to be much higher, over 100 billion. The IoT is a giant network of connected 'things' which also includes people. The relationship will be between people-people, people-things, and things-things. The new rule for the future is going to be, "Anything that can be connected, will be connected." But why on earth would you want so many connected devices talking to each other? There are many examples for what this might look like or what the potential value might be. Say for example you are on your way to a meeting; your car could have access to your calendar and already know the best route to take. If the traffic is heavy your car might send a text to the other party notifying them that you will be late.
On a broader scale, the IoT can be applied to things like transportation networks: 'smart cities' which can help us reduce waste and improve efficiency for things such as energy use; this helping us understand and improve how we work and live. The reality is that the IoT allows for virtually endless opportunities and connections to take place, many of which we can't even think of or fully understand the impact of today.
* Internet of things(IoT): 사물인터넷
- J. Morgan, "A Simple Explan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Forbes
[영문 해석]
사물인터넷은 직장 안과 밖에서 점점 화두가 되어가고 있다. 간단하게 말해서 사물인터넷이란 켰다 껐다 하는 스위치가 달린 모든 기기를 인터넷과 연결시킨다는 개념이다. 이는 휴대폰, 커피메이커, 세탁기, 헤드폰, 램프, 몸에 장착 가능한 기기(wearable devices) 등을 포함한다. 리서치기관인 가트너(Gartner)에 의하면 2020년에는 260억 개 이상의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을 것이라고 한다.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이 수치를 훨씬 더 많은 1,000억 개로 예상하기도 한다. 사물인터넷은 사물들의 거대한 네트워크이며 이는 사람도 포함한다. 이 때의 관계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관계를 말한다.
미래에는 "연결가능한 모든 것이 연결될 것이다"라는 말이 새로운 규칙이 된다. 왜 사람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말하는 이 많은 기기들을 원하는 것일까? 이러한 세상의 모습은 어떠하며 어떤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지 보여주는 많은 예들이 있다. 가령 당신이 회의에 가는 길이라고 하자. 자동차가 당신의 스케줄을 보고 어떤 길로 가야하는지 미리 알 수도 있다. 교통체증이 있다면 자동차는 상대방에게 당신이 늦을지도 모른다고 알려주는 메시지를 보내기도 한다. 보다 광범위하게는 교통 네트워크에 사물인터넷이 도입되어 "똑똑한 도시"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이러한 도시는 쓰레기를 줄이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돕는다. 이로써 우리는 우리가 어떻게 일하고 생활하는가를 이해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사실 사물인터넷은 오늘날의 우리들은 생각할 수도 없고 그 영향력을 완전하게 이해할 수도 없을 정도로 무한한 기회를 제공하고 모든 것을 연결시킬 것이다.

<제시문 2>
미셸 푸코는 근대 이전의 군주 권력이 만인이 한 사람의 권력자를 우러러보던 시선으로 특징지어졌다면, 근대의 규율 권력은 한 사람의 권력자가 만인을 감시하는 시선으로 특징지어진다고 보았다. 푸코는 이러한 변화를 상징하고 이를 추동(推動)한 것이 다름 아닌 영국의 공리주의 철학자 벤담이 1791년에 제안한 원형 감옥 패놉티콘이라고 말했다.
벤담은 그리스어로 '다 본다(Pan: all + Opticon: seeing 또는 vision)'라는 의미를 가진 이것을 자신이 설계한 감옥을 지칭하는 용어로 새롭게 사용했다. 죄수는 간수를 볼 수 없는 상태로 항상 보여지기만 하고, 간수는 보이지 않는 상태로 항상 모든 죄수를 감시 할 수 있었다. 이 시선의 '비대칭성(非對稱性)'이 패놉티콘의 핵심구조였다. 벤담 자신이 강조했듯이 패놉티콘은 '죄수들이 언제나 감시받고 있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감시의 환영(幻影)'을 창조한 극장이었다. 벤담은 그의 책『 패놉티콘』의 서문에서 패놉티콘을 통하여 "도덕이 개혁되고, 건강이 보존되며, 산업이 활성화되고, 훈령(訓令)이 확산되며, 대중의 부담이 감소되고, 경제가 반석에 오른다"라고 함으로써 그 응용 가능성을 강조했다. 패놉티콘은 죄수를 교화하기 위해 설계되었지만 환자를 치료하거나 학생을 교육하는 곳, 노동자를 감독하는 곳, 정신병자를 가두는 곳, 그리고 거지와 게으름뱅이의 재활 시설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푸코는 이 점에 주목하여 패놉티콘의 의미 범주를 확장 해석하였다. 패놉티콘을 통한 규율이라는 것이 범죄자를 감금하는 영역에서 벗어나 무한히 확장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패놉티콘형 감시와 통제가 '가장 미세하고 가장 멀리 떨어진 요소들에까지 권력의 효과를 미칠 수 있는' 권력의 메커니즘으로 재탄생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 ○○출판사『,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에서 재구성

<제시문 3>
언제나 안개가 짙은
안개의 나라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어떤 일이 일어나도
안개 때문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으므로
안개 속에 사노라면
안개에 익숙해져
아무것도 보려고 하지 않는다
안개의 나라에서는 그러므로
보려고 하지 말고
들어야 한다
[후략]
- 김광규「, 안개의 나라」

<제시문 4>
내가 아직 요동 땅에 들어서지 않았을 때 갑자기 큰 강물이 앞에 나오는데, 천 리 밖에 폭우가 내려 붉은 파도가 산처럼 일어서며 무척 위태로웠는데 강물 소리는 전혀 들리지 않았다. 사람들은 요동 평야가 평평하고 광활하기 때문에 물줄기가 성내 울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것은 황하를 모르고 하는 소리다. 황하가 울지 않는 것이 아니라, 한밤중에 건너지 않았기 때문일 뿐이다. 낮에는 능히 물을 볼 수가 있다. 눈이 온통 위험한 데로 만 쏠려서 바야흐로 부들부들 떨려 도리어 눈이 있음을 근심해야 할 판인데 어찌 물소리가 들리겠는가? 이제 내가 한밤중에 강물을 건너매, 눈에 위태로움이 보이지 않자 위태로움이 온통 듣는 데로만 쏠려서 귀가 바야흐로 덜덜 떨려 그 걱정스러움을 견딜 수 가 없었다. 내가 이제야 도를 알았다. 마음이 텅 비어 고요한 사람은 귀와 눈이 탈이 되지 않고, 눈과 귀만을 믿는 자는 보고 듣는 것이 자세하면 자세할수록 더더욱 병통이 되는 것임을. 내 마부가 말에게 발을 밟혀 뒤 수레에 실리고 보니, 마침내 고삐를 놓고 강물 위에 떠서 안장 위에 무릎을 올려 발을 모으자, 한번 떨어지면 그대로 강물이었다.
강물로 땅을 삼고 강물로 옷을 삼고 강물로 몸을 삼고 강물로 마음을 삼아 한번 떨어질 각오를 하고 나자 내 귓속에 마침내 강물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무릇 아홉 번을 건넜으되 아무 걱정 없는 것이, 마치 앉은 자리 위에서 앉고 눕고 기거하는 것만 같았다.
- 박지원「,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에서 발췌

<제시문 5>
(가)
왼손은 얼음물을 담은 컵에, 오른손은 뜨거운 물을 담은 컵에 담근다. 1분정도 후에 미지근한 물을 담은 컵에 두 손을 담가 보자. 그러면 똑같은 물이지만 왼손에는 그 물이 따뜻하게 느껴지고, 오른손에는 차갑게 느껴질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어떤 자극의 강도에 대한 지각은 그 자극의 절대적인 강도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강도에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지각 경험은 그 배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나)
카네만과 트버스키는 가치 함수를 통해 기대이론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들의 이론은 사람들이 현재의 상태에서 유리해지는 변화를 이득으로, 불리해지는 변화를 손실로 바라본다고 가정한다. 사람들은 의사결정을 할 때 이득이나 손실의 기댓값 그 자체가 아니라 그로부터 느끼는 만족감이나 상실감과 같은 주관적인 가치의 크기에 따라 선택을 한다. 그러므로 기대이론은 우리가 어떤 대상에 대해 판단할 때 그 자체에 대해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들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그 대상을 판단한다는 것을 설명하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 EBS 인터넷 수능 국어 영역 화법과 작문 & 독서와 문법 (A형, B형)』(2014년)

2016122601001674600081772

<자료>
(가)
누군가가 A에게 다음과 같은 제안을 했다고 가정해 보자. 첫째, 무조건 10,000원을 받는다. 둘째, 50% 확률로 0원을 받거나 20,000원을 받는다. 둘 중 한 가지를 선택하라면 어느 것을 선택하겠는가? 기댓값의 관점에서 보면 둘 중 어느 쪽을 선택해도 차이가 없다. 어떤 선택의 기댓값이란 선택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에 그 사건이 일어남으로써 얻게 될 이득을 곱한 값이다. 앞의 예에서, 첫 번째 선택지는 무조건적 선택이므로 확률은 1이고 그 이득은 10,000원이다. 두 번째 선택의 기댓값은 0.5의 확률에 각각 이득 0원을 곱한 값과 20,000원을 곱한 값의 합인 10,000원이다.
(나)
B가 교통 신호를 위반했을 때 그에게 두 가지 선택지가 있다고 가정하자. 첫째, 경찰에 위반 사실을 자진해서 알리고 10,000원의 벌금을 낸다. 둘째, 모른 척하고 있다가 적발되어 20,000원의 벌금을 내거나, 적발되지 않아 벌금을 한 푼도 내지 않는다. 물론 적발될 확률과 적발되지 않을 확률은 각각 50%이다. 어떤 것을 선택하겠는가? 두 가지 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기댓값은 벌금 10,000원으로 같다.
-『 EBS 인터넷 수능 국어 영역 화법과 작문 & 독서와 문법 (B형)』(2014년)

■ 1번 답안 설계

<제시문 1>, <제시문 2>의 요지와 <제시문3>의 주제의식을 서술하시오.(200자 내외)
문제1은 두 제시문의 요지와 문학 작품 속에 담긴 주제를 파악하여 정리하는 문제입니다. 분량이 적기 때문에 제시문에 나오는 핵심 내용을 각각 한 문장 정도로 정리하여 서술하면 됩니다. <제시문 1>은 사물 인터넷에 대한 글입니다. 사물인터넷은 사물과 사물을 연결해주는 것에서 그 범위를 확대하여 이제는 사람과 사물을 연결해 주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인간에게 무한한 편리함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제시문 2>는 패놉티콘을 사례로 들면서 패놉티콘으로 상징되는 근대 규율 권력을 통한 감시와 통제가 사람들을 미세한 영역에까지 확대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제시문 3>은 '안개'처럼 진실이 은폐되고 통제되는 사회에서 순응하며 살아가기 보다는 분별력과 비판력을 잃지 말고 살아가는 자세가 필요함을 말하고 있습니다.

① <제시문1>의 요지(70자 내외)
- 사물인터넷이 인간 생활을 편리하게 변화시켰다는 내용으로 작성한다.
② <제시문2>의 요지(70자 내외)
- 패놉티콘으로 상징되는 근대 규율 권력이 만인을 미세한 영역까지 감시하고 통제하고 있다는 내용을 서술한다.
③ <제시문3>의 요지(70자 내외)
- 안개에 싸인 세상에서 살아가는 것처럼 통제되고 마비된 상황에 순응하기 보다는 분별력과 비판력을 갖고 이러한 상황에 대처해야 한다는 내용을 서술한다.

■ 2번 답안 설계하기
<제시문2>와 <제시문3>을 각각 활용하여 <제시문1>의 견해를 비판하시오.(500자 내외)
① <제시문2>를 활용하여 <제시문1>의 견해 비판 (250~300자)
- <제시문1>은 사물인터넷 세상이 인간에게 주는 긍정적인 측면만을 강조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패놉티콘에 의한 감시와 통제가 사물 인터넷을 통해 감시와 통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음을 서술한다.
② <제시문3>을 활용하여 <제시문1>의 견해 비판 (200~250자)
- 사물인터넷이 제공하는 편리함으로 인해 주어진 상황 속에서 순응하며 살 수 있음을 지적하고 사물인터넷 세상을 분별력과 비판력을 가지고 살아가야 함을 지적한다.

■ 3번 답안 설계하기
<제시문4>와 <제시문5-가>를 비교 분석하시오.(400자 내외)
<제시문4>는 같은 물소리라도 듣는 사람의 마음가짐에 따라 다르게 들린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외적 상황(배경)은 사람의 의식에 작용하여 바른 판단력을 잃게 할 수 있으므로 마음을 차분히 다스려야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제시문5-가>는 실험을 통해 사물에 대한 지각은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배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① 두 제시문의 공통점 (200자)
- 인간의 지각은 (감각적 경험과 같은) 배경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서술한다.
- <제시문4>에서는 낮과 밤이라는 배경에 따라 강물소리가 들리기도 하고 들리지 않기도 한다는 내용을 언급하고, <제시문5-가>에서는 따뜻한 물과 차가운 물에 손을 담근 경험적 배경에 따라 미지근한 물에 손을 넣었을 때 온도를 다르게 느꼈다는 내용을 서술한다.
② 두 제시문의 차이점 (200자 내외)
- 배경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는 현상에 대해 대응방법이 제시되어 있는가 여부를 기준으로 차이점을 분석하도록 한다. <제시문5-가>에는 지각 경험이 배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만 제시되어 있으나, <제시문4>에는 이에 대한 대응방법(마음가짐)이 제시되어 있음을 서술한다.

■ 4번 답안 설계하기
<제시문5>의 카네만과 트버스키가 제시한 가치함수 그래프가 의미하는 바를 설명하고, A와 B가 가치함수에 근거하여 각각 어떤 선택을 할지 추론하고 그 이유를 제시하시오.(500자 내외)
① 가치함수 그래프가 의미하는 내용 설명하기(100자)
-가치 함수 그래프에서 소실에 다른 가치하락 폭은 이익에 따른 가치 상승 폭보다 더 크다
-이익이나 손해가 커질수록 함수의 기울기는 완만해져서 가치의 변화 폭이 감소한다
② 가치함수에 근거하여 A가 내릴 선택 추론하고 이유 제시. (200자)
[A가 내릴 선택 추론] A는무조건 10,000원을 받는 것을 선택할 것이다.
[이유] 무조건 10,000원을 받을 경우 가치는 3, 50%의 확률로 0원을 받거나 20,000원을 받을 경우 가치는 2[=(0+4)/2]가 나와 전자의 가치가 더 크다.
③ 가치함수에 근거하여 B가 내릴 선택 추론하고 이유 제시. (200자)
[B가 내릴 선택 추론] B는 모른 척하는 경우를 선택할 것이다.
[이유] 자진 신고를 해서 10,000원을 벌금으로 낼 경우 손해보는 가치는 -6이고, 모른 척할 경우 50%의 확률로 벌금을 내지 않거나, 20,000원 벌금을 낼 경우 가치는 -4[=(0+-8)/2]로 후자의 경우가 가치 상실이 더 적음을 이유로 제시한다.

/이장우 박문여고 교사

※위 논술카페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