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창간특집

[창간 76주년·다시, 우Re] 원도심에 '사람 냄새' 불어넣는 '도시재생사업'

땀 서린 주민들의 손길… 멈춘 도시에 온기가 돈다
그래픽/성옥희기자 okie@kyeongin.com

2021100801000239800011262
도시도 나이가 든다. 지역의 성장을 견인하던 도심은 지리상 도시의 한 중간을 차지할 뿐 경제·문화의 외곽으로 밀려나 한 지역을 대표하기보다는 '원도심', 혹은 '구도심'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 시작한다.

한때 생기가 돌던 거리에는 고요한 적막만 흐른다. 심지어 신도시와의 격차에 박탈감을 느끼는 주민들도 생기기 시작한다.

지역의 생기와 활력을 신도시에 빼앗긴 원도심의 미래는 어떻게 만들어가야 할까.
 

나이 든 도시
=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2019년 12월 최신 통계 기준)에 따르면 경기도는 565개 읍·면·동 가운데 231개 지역이 쇠퇴지역에 포함됐다. 인구·사업체가 최근 5년간 3년 이상 연속으로 감소하면서, 전체 건축물 중 준공 20년 이상이 지난 노후건축물 비율이 높다는 뜻이다.



경기도는 쇠퇴지역의 노후주택비율이 54.8%로 비쇠퇴지역(24.2%)보다 2.3배 높고, 문화·복지시설은 비쇠퇴지역의 80% 수준이다. 경기도민 1천314만5천명 가운데 424만3천명이 쇠퇴지역에 거주하는 것이다.

인천 역시 153개 읍·면·동 가운데 97개 지역이 쇠퇴지역이며, 이곳에 거주하는 인구도 시 전체 인구의 절반(295만5천명 중 151만7천명·51.3%)을 넘어섰다.  
도내 읍·면·동 중 231곳 '쇠퇴지역'… 인천도 97곳
'철거형 재개발' 부동산 부작용 등에 떠오른 '리터치'
큰 변화 없다는 비판에도… 전문가들 "필요" 목소리
그간 원도심의 해법은 '철거형 재개발'이었다. 특히 뉴타운 사업으로 대표되던 전면 철거형 재개발은 원도심을 신도시로 도시의 풍경을 완전히 바꾸면서 대안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심각한 한계에 부딪혔는데, 원주민은 또 다른 도시의 외곽으로 쫓겨나고 신도시 1, 신도시 2, 그리고 신도시 3으로 만들었다.

수천 가구를 밀어내는 재개발 방식은 주변 전세가를 크게 높여 서민들이 안식처를 잃고, 부동산 경기가 조금이라도 얼어붙으면 수익성을 담보하지 못해 부동산 시장에 불안을 가져왔다.

실제 경기도는 2007~2009년 12개 시, 23개 재정비촉진지구가 지정됐지만, 2010년~2015년 9개 시, 15개 지구를 차례로 해제(실효)했다. 개발사업 탓에 집수리 등을 수년간 미뤄오면서 지구 지정 이전보다도 주거 여건은 더욱 열악해졌다.

도시재생이 대안이 될까
= 지난 2013년 도시재생이 법률상 용어로 등장했다. 사실 도시재생은 노무현 참여정부 시절 '살고 싶은 도시(마을)만들기'라든가, 이명박 실용정부의 '도시활력 증진 지역개발사업' 등으로 존재했다.

도시재생이라는 용어가 법률로 정의되고 나서 박근혜 정부는 도시재생 선도·일반사업(2015년)을 추진했고, 문재인 정부는 도시재생 뉴딜사업(2018년)을 본격화했다.

도시재생은 일종의 '리터치'와 같아, 큰 변화보다는 보다 살기 좋은 마을을 콘셉트로 진행되다 보니 돈은 돈대로 쓰는 것처럼 보여도 눈에 띄는 변화를 찾기는 어렵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한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도시재생 사업이 불완전하다고 평가하면서도 필요한 사업이라고 설명한다.

1960년 약 1천만명이었던 우리나라 도시 인구가 2010년 약 4천500만명으로 늘어났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부산시 인구(350만명)를 수용할 도시를 5년 주기로 2010년까지 계속 만들어왔다는 것이다. 결국 학교나 공공시설 등 기반시설이 제대로 조성될 수 없었기에 도시재생으로 리터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람이 중심이 되는 도시재생
= 도시재생은 결국 도시의 풍경을 어떻게 바꾸느냐가 아니라 누가, 어떤 내용을 담을 것이냐가 핵심이다. 수원 팔달구 매교동은 '골목 경제'가 화두가 되자 뜻이 있는 청년들이 하나둘 모이면서 과거의 영광을 회복하고 있다. 주말이면 발디딜 곳이 없었던 매교동이었지만 신도시 개발이 이어지자 사람들의 발길이 끊어진 것이다. 매주 목요일 주민, 청년 상인들이 모여 도시재생 사업 현안을 놓고 토의하면서 지역이 가진 역사와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신도시에서 찾아볼 수 없는 이색적인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때문에 평일이든, 주말이든 다시 사람들이 몰리며 예전의 에너지를 느낄 수 있다. 안양 만안구 명학마을도 2010년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주민들이 찬반으로 나뉘어 갈등을 겪었다.  
수원 매교동 청년 상인들 모여 지역 현안 놓고 토의
안양 명학마을 협동조합 출범 공동육아·노인돌봄도
지속가능 위해 거점공간 마련 주민들 역량 키워나가
도시재생 사업의 결과물인 거점 공간을 관리하는 마을관리 협동조합이 출범하면서 주민 만족도가 높다. 특히 조합원들이 공동육아나 노인 돌봄을 하는 등의 사업을 진행하면서 도시재생 사업을 반대하던 주민들도 크게 만족하고 있다.

이처럼 도시재생은 단순 비용과 결과만으로 얘기할 수 없다. 주거가 사람을 안락하게 지키고 삶을 가꾸는 바탕이 되는 것이라면, 결국 도시 재생도 사람을 먼저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박인규 인천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장은 "도시재생사업이 모두 잘되고 있다고 평가하긴 어렵다. 하지만 화단을 가꾸거나 벽화를 그리는 게 전부라고 말한다면 절대 그렇지 않다"며 "도시재생사업은 이미 그 단계를 뛰어넘었다. 거점 공간을 만들고 마을을 관리할 주민들의 역량을 키우고 있다.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해서다"라고 말했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

김성주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