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지자체 '서울 편입' 논란

[경기 지자체 '서울 편입' 논란] "인접 타 지역과 다르다" 선긋는 김포

입력 2023-10-31 19:58 수정 2024-02-05 18:40
지면 아이콘 지면 2023-11-01 3면

김포시 전경 (17)
김포의 서울시 편입론으로 촉발된 경기·서울 인접 지자체 편입 논의는 김포와 김포 외 지자체로 나눠 봐야 한다는 게 김포지역 분위기다. 김포시 도심 전경. 2023.10.31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김포는 타 인접지역과는 다릅니다. 김포의 서울 편입은 따로 봐주세요."

김포의 서울시 편입론으로 촉발된 경기·서울 인접 지자체 편입 논의는 김포와 김포 외 지자체로 나눠 봐야 한다는 게 김포지역 분위기다.

 

애초 이 논의를 시작한 김포는 지리적·도시적 특징이 또 다른 편입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하남, 광명, 과천, 구리 등 다른 서울 인접 지자체와 구분되는 특징을 보인다고 주장한다. 김포시 내부에서도 타 지자체로 논의를 확장하기보다 김포시의 서울 편입이 지닌 의미가 강조돼야 한다는 기류가 있다.

김포시의 경우 1995년 검단면을 인천에 강제로 빼앗겼다는 정서가 강하다. 당시 주민들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으나 관선 시절 관변단체들을 앞세워 분리를 추진한 데서 기인한 정서다.


검단 등 타의로 도시 재단된 역사
경기북도 국면 편입처 찾는 모양새
"논의 확장보다는 따로 봐주길"


김포는 검단뿐 아니라 양서면(강서구)·양동면(양천구), 계양면(인천) 분리 등 타의에 의해 도시가 재단된 역사가 있다. 그러다 보니 경기남도와 경기북도로 나뉘게 될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립 국면에서 스스로 편입처를 찾는 모양새다.



지리적으로 봐도 경기북부와는 한강이라는 자연 요소로 떨어져 있고, 그 사이에 한강 철책이 놓여 단절된 상태다. 또 검단·계양 분리에 따라 인천과는 접하게 됐지만 경기남부와는 경계가 닿지 않아 지리적 접점도 없다. 이처럼 경기남부와 북부 모두에게서 떨어져 나간 형태이다 보니 서울 편입이 낫다는 설명이다.

특히 김포 면적은 서울의 절반에 달할 정도로 큰데, 그 중 60% 개발 유휴지가 남아 있다는 점도 김포가 서울 편입을 주창하는 주된 이유로 꼽힌다. 다만 이 부분은 서울의 면적을 과도하게 확장하고 난개발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점에서 반대 논리에 부딪히기도 한다.

/김우성·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

2023103101001160800061441



경인일보 포토

김우성·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

김우성·신지영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