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기 중소저축은행 부실채권 2년새 2배로… PF 위기에 '덜덜'

입력 2024-01-08 20:12
지면 아이콘 지면 2024-01-09 1면
자산 1조이하 13곳… 전국 47곳
2021년 3.4%서 지난해 6.8%로 급등
대출 절반 부동산·건설업 차지 영향
7곳은 자기자본보다 더 많아 빨간불
PF 미포함 '브릿지론' 리스크 우려도


금융권의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인천·경기 소재 중소저축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2년 사이 2배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자산규모 1조원 이하인 인천·경기지역 13개 저축은행을 포함한 전국 47개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지난 2021년 3.4%에서 2023년 6월말 기준 6.8%로 상승했다.



은행 등 금융기관 대출채권은 건전성에 따라 5가지(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에 해당하는 대출채권이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데, 경인지역 중소저축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2년 사이 급등한 것이다.

부실채권이 늘어난 것은 지역 저축은행 전체 대출 중 절반가량이 부동산·건설업을 대상으로 이뤄진 영향이다.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인천·경기지역 13개 저축은행의 기업대출액 중 부동산업과 건설업 대출 비율은 46.4%를 차지했다. 기준금리 인상 이후 시중은행이 부동산 관련 대출 규모를 줄이자, 지역 건설사 등이 저축은행으로 눈을 돌리면서 대출 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과 건설 관련 대출 규모가 커지면서 지역 저축은행 위험 부담도 커졌다. 부동산 PF 대출액과 건설업 관련 대출액을 합산한 금액이 자기자본보다 많은 경인지역 저축은행이 지난해 기준 7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돈을 빌린 기업이 폐업 혹은 파산할 경우 유동성 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역 중소 저축은행 부실 가능성을 키우는 또 다른 요인으로는 '브릿지론'이 꼽힌다.

부동산 PF 대출은 크게 브릿지론과 본PF로 나뉘는데, 브릿지론은 건설을 진행하는 사업자가 토지 매입 등 사업 초기에 필요한 자금 확보를 위해 금융기관으로부터 빌리는 대출을 의미한다. 브릿지론을 종잣돈 삼아 분양사업 등을 마무리하고, 여기에서 나온 수익으로 브릿지론을 갚은 다음 본PF 대출을 받는 구조다.

문제는 저축은행 공시자료에 본PF 대출만 부동산 PF 대출 항목에 포함된다는 점이다. 브릿지론은 공시자료의 일반대출 항목에 포함돼 규모를 따로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저축은행의 부동산 관련 대출에 브릿지론까지 포함하면 지역 저축은행의 PF 관련 리스크는 예상보다 클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러한 리스크에 대비해 지역 저축은행이 2022년 하반기부터 현금성 자산을 대거 확보하면서 관리에 나섰지만, 최근 태영건설발 PF 위기가 확산하면서 자본 관리를 더욱 보수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온다.

한국신용평가 관계자는 "분석 대상 저축은행은 지역 내 건설과 부동산 관련 대출에 치우쳐 있어 부동산 경기 악화에 따른 위험에 크게 노출돼 있다"며 "(대형 저축은행에 비해) 대주주 자금지원 능력이 부족한 만큼 더욱 보수적 자본 관리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

한달수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