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지자체 '서울 편입' 논란

[경기 지자체 '서울 편입' 논란] 6년 전에도 거론된 '수도권통합론'… 그때도 이재명은 "허경영 주장" 비판

입력 2023-11-01 20:40 수정 2024-02-06 15:10
지면 아이콘 지면 2023-11-02 1면

s1.jpg
/경인일보DB
 

김포의 서울 편입론(11월1일자 1면 보도=[경기 지자체 '서울 편입' 논란] 명분 없고, 절차 무시… 졸속 행정구역 개편에 대혼란)으로 불거진 '서울 메가시티' 구상으로 지난 제7대 경기도지사 선거를 달군 수도권 통합론, 이른바 '광역서울도' 논란이 재소환됐다.


진보 진영에 큰 격차로 뒤처진 판세를 뒤집기 위해 보수 진영에서 나온 게 경기·서울을 합친 거대도시를 출범시키자는 구상이었는데, 당시 이재명 후보는 "실현 불가능 하다. 허경영 주장"이라며 일축한 바 있다. 결국 '광역서울도'는 여론 호응도 이끌어내지 못하고 선거 판세에 영향을 주지 못한 채 좌절됐다. 

 

당시 이재명 후보는 '서울 메가시티'와 관련해 "경기도의 자주성, 중심성을 완전히 포기하는 건데 이건 지방자치 분권시대에 역행하는 말도 안되는 얘기다. 정치적으로 실현 불가능하고 효과도 없다"고 평가절하했다. 또 "경기도를 서울의 변두리·외곽·껍데기가 아니라 진정한 자치정부, 서울과 경쟁하는 새로운 대한민국의 중심 경기도로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서울 메가시티 구상에 대한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입장이 명확히 드러나 있는 셈이다.

경기도지사 선거 때 남경필 공약
선거판세 영향 주지 못하고 좌절

과거를 돌아보면 경기도지사 선거를 한 해 앞둔 2017년 남경필 당시 경기도지사는 '경기도를 포기하겠다'라는 글을 통해 광역서울도 출범, 즉 수도권 통합론을 폈다.

잠재 후보군으로 꼽힌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과 여론조사 격차가 두 자릿수로 벌어지자 선거 판세를 뒤집기 위한 게임체인저가 필요한 시점이었다.

수도권 지자체를 합쳐 가까운 중국 상하이나 일본 도쿄도와 같은 메가시티로 출범,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자는 구상이었다. 경기도를 포기하는 대신 수도권을 서울도로 바꾸자는 게 골자였다.


여론은 명확하게 갈렸다. 명분과 실리를 떠나 실현 가능한 구상이 아니라는데 방점이 찍혔고 이재명 후보는 한 TV 프로그램에서 "수도권 통합은 허경영씨의 주장"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untitled-2.jpg
경인일보 2017년 12월 14일자 3면 기사.

'경기도를 포기한다'는 주장과 반대로 이재명 후보는 서울외곽순환도로를 경기순환도로(현 수도권순환도로)로 명칭을 변경하는 등 경기도의 자주성을 강화하는 공약을 폈고 선거에서 승리했다.

총선 앞두고 여당發 다시 수면위
李 "지방자치 분권 시대에 역행"
총선을 150여 일 남기고 나온 김포 서울 편입론 역시 여당이 일방적으로 불리한 수도권 선거 구도, 경기 일부 지자체의 서울 편입으로 수도를 확장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자는 취지 등에서 2017~2018년 논의와 유사점이 많다. 특히 수도 서울의 확장이라는 공통점, 경기도의 정체성을 포기한다는 면에서 그렇다.

이런 상황 속에 또다시 여당을 통해 서울 메가시티 구상이 등장했고, 다시 논란에 불을 지핀 상태다. 여권에서 이런 주장이 제기되자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은 지난달 31일 "도민의 대립만 유발하는 분열의 정치가 될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놨고,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1일 "선거 전략이라면 자충수"라고 평가절하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

2023110101000061200001441

 



경인일보 포토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

신지영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