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대화 국면에서의… 과제' 토론회
동해권 환경·관광 서해권 물류·교통
지역 경제영토 확장전략 필요 지적
남북 평화 시대에서 인천은 남북 교류에만 국한할 것이 아니라 중국을 포함해 동북아를 잇는 '한반도 신경제지도'를 구상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25일 인천대학교가 주최하고 인천공공성플랫폼추진단과 인천시의회 손민호 의원이 주관해 '남북대화 국면에서의 인천의 과제'란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김수한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 랴오닝성 등은 한반도 접경지역에 대해 초국경협력 태세를 갖추고 항구와 배후산업단지, 국제공항이 있는 인천의 지리적·물류적 이점을 매우 잘 알고 있다"며 "인천은 동북아 지역과 다각적으로 협력해 한반도 평화시대에 물류 거점 도시가 될 수 있는 전략을 지금부터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평화 시대에서 인천은 지리적 강점을 회복할 때 진정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며 "남북 간 교류에 갇혀 있지 말고 동해권으로는 환경·관광, 서해권으로는 물류·교통 등 지역의 경제 영토를 확장하는 '한반도 신경제지도'를 구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은 최근 인천시가 조직 개편으로 중국협력담당관실을 폐지하고 중국팀을 일자리경제본부에 배치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은 "인천은 동북아 경제·평화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도시 외교를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준비 측면에서 중국 협력관 기능을 축소한 것은 적절하지 않았다"며 "국제협력과 중국팀을 정책기획관실로 이관해 남북교류협력담당관실과 협업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에서는 인천과 강화, 옹진군이 범정부 추진 통일 정책에 안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시민단체의 의견도 통일 정책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박원일 평화도시만들기인천네트워크 집행위원은 "접경지역의 특수성을 활용해 지역 차원의 의제를 발굴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인천이 민관협력을 통해 평화 비전,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시정부와 시민사회, 전문가 연구기관 네트워크를 가동한 평화정책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최근 조직 개편을 통해 남북교류팀을 남북교류협력담당관으로 확대하고 남북교류협력사업 기획, 총괄, 발굴, 북한이탈주민 관리 업무 등도 세분화했다. 또한 '평화도시 조성을 위한 기본 조례'를 제정해 평화도시조성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할 방침이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평화시대 인천, 동북아 잇는 新경제지도 구상을"
입력 2018-10-25 21:45
지면 아이콘
지면
ⓘ
2018-10-26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