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jpg
인조반정, 인조, 능양군. /KBS 2TV '녹두전' 방송 캡처
 

드라마 '녹두전'에서 능양군의 정체가 드러난 가운데 '인조반정'이 화제다. 

 

인조반정은 조선의 3대 반정(중종반정, 문체반정) 중 하나로, 1623년 3월 12일 서인 반역 세력이 광해군 및 대북파를 축출하고 능양군을 왕(인조)으로 옹립한 사건을 뜻한다. 

 

선조의 총애를 받고 세자 후보 중 하나였던 신성군의 동복 아우인 정원군의 장남이자 형이었던 능창군이 제거당하자 개인적 원한과 북인의 독주가 불러온 당리당략적인 이해 요소가 맞물려 진행됐다. 

 

중종반정과는 달리 인조가 직접 반정을 주도한 것이 특징이다. 

 

처음에는 구굉과 이서 등이 주도했으며, 실질적인 주도자는 이귀와 김자점, 김류, 이괄 등으로 구성됐다. 

 

인조반정 당시 광해군은 피신했으나 붙잡혀 폐위된 뒤 유배됐다. 광해군은 제주도로 유배를 떠났으며, 인조반정 명분으로 인조는 그를 극진히 챙겼고, 광해군은 환갑을 넘기며 천수를 누렸다. 

 

명나라는 광해군이 폐위된 것과 관련해 무슨 명분인지 몰라 불만을 가졌고, 왜군을 끌어들여 광해군을 축출한 것이 아니냐는 낭설도 돌았다. 이후 22개월이 지나 모문룡의 추천으로 인조의 왕위를 승인했다. 

 

인조는 광해군이 못다 이룬 개혁도 진행했고, 이는 조선이 300여 년을 버티게 된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친명배금 정책으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연달아 초래했으며, 청나라의 대두로 왕이 항복하는 삼전도 굴욕까지 갖게 됐다. 

 

/손원태기자 wt2564@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