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인용하면서 물밑에서 상황을 지켜보던 지자체들의 발걸음이 바빠졌다. 6월3일 조기 대선을 앞두고 대선에 나서는 후보들의 공약에 지역 현안을 반영하기 위해서다. 트럼프발 관세 부과, 계속되는 경기 침체 속 대권 주자들도 저마다 경제 공약을 하나둘 발표하면서 여기에 발맞춰 국비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총성 없는 전쟁이 시작됐다.
일부 지자체의 경우 단체장들이 국회와 정부 부처, 기관을 찾아다니면서 공약 세일즈까지 펼치고 있다. 대선이 끝나면 지자체장들의 임기도 1년 남짓 남는 상황에서, 새 정부 정책에 지역 핵심 사업이 반영되는 것 만큼 유권자들에게 어필하기 좋은 성과도 없다. 각 정당의 시도당 역시 자체적으로 공약을 추려 중앙당에 제출하는 등 다음 지방선거를 앞두고 결과물을 가져오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반면 인천은 밖에서 보기에 지역 현안을 정부 사업과 연계하려는 움직임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시 내부에서는 나름대로 치열하게 움직이며 준비하는 와중에 퍽 섭섭하게 들릴 수 있겠지만, 다른 지자체들이 조기 대선 일정이 나오기만을 기다렸다가 헌재의 대통령 파면 결정과 동시에 광폭 행보를 보이는 것과 비교하면 평온해 보이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이번 대선 역시 과거 대선과 마찬가지로 ‘균형 발전’이 핵심 의제로 떠오르고 있다. 인천을 지역구로 둔 이재명 전 대표는 부산, 울산, 경남을 해양 수도로, 세종과 충청권을 행정 수도로 만들겠다는 정책 구상을 제시했다. 서울에 집중된 인구와 각종 국가 기능을 분산할 필요가 있다는 점엔 동의하나, 자칫 인천이 서울 경기와 함께 수도권에 있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받을 처지에 놓였다. 대선 국면에서 인천의 정치력이 다시 한 번 시험대에 올랐다. 초반 레이스에서는 확실하게 뒤로 처졌다. 이 격차를 좁히기 위해 지금이라도 인천시와 지역사회가 분주하게 발품을 팔아야 한다. ‘서인부대’라는 표현이 무색해지지 않으려면 말이다.
/한달수 인천본사 정치부 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