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광교테크노밸리 내 장기간 방치된 부지를 광역 바이오 클러스터 거점으로 구축하기 위해 경기주택도시공사(GH)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이 힘을 합한다. → 위치도 참조
수원 광교테크노밸리 내 장기간 방치된 바이오 연구센터 부지 위치도. /GH 제공
GH가 주도적으로 해당 부지를 개발하면 경과원이 이곳에 들어올 바이오 기업들을 유치, 지원하는 역할을 할 예정인데 도의회 동의가 관건이다.
GH와 경과원은 22일 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앞서 지난해 1월 김동연 도지사는 광교테크노밸리 입주기업 현장 간담회에서 광교테크노밸리에 바이오 스타트업들이 둥지를 틀 수 있도록 개발해, 대한민국 최고의 바이오 단지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2024년 1월 9일자 3면 보도). 경과원도 김 지사와 보조를 맞춰 광교테크노밸리 내에 오래도록 방치된 바이오 연구센터 부지를 개발해, 바이오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는 거점으로 삼겠다고 했다.
해당 바이오 연구센터 부지는 2만5천171㎡다. 도는 해당 부지를 GH에 출자해, 부지를 GH가 개발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최근 도의회에 ‘광교테크노밸리 바이오 유휴부지 개발 경기주택도시공사 현물출자 동의안’을 제출했지만, 도가 발의한 안건이 대부분 도의회 심의 대상에 오르지 못하면서 해당 동의안의 처리도 불발됐다.
이런 상황 속 실제 부지 개발과 바이오 스타트업 육성·지원을 담당할 두 기관이 업무 협력을 약속한 것이다. 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바이오 기업 수요 파악과 유치, 육성 및 지원은 물론 활성화를 위한 산·학·연 협의체 구성 등에도 협력키로 했다. 이날 경과원은 바이오 분야 맞춤형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한국바이오협회, 분당서울대병원, 성균관대학교, 동국대학교, 을지대학교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도와 GH는 이르면 오는 6월 도의회 승인을 받는대로 올 하반기에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밟은 후 착공할 예정이다. 이종선 GH 사장 직무대행은 “광교테크노밸리 내 바이오 연구센터 부지를 바이오 산업을 선도하는 혁신 거점으로 조성해, 우수 인재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축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