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여파 정치적 불확실성 작용

탄핵 이어지며 건설사들 미룬 듯

부동산 시장 침체 맞물려 악영향

올해 1분기 인천에 공급된 주택은 252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0%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계엄 여파 등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과 부동산 시장 침체가 맞물리며 분양 물량에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29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3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1분기(1~3월) 전국 분양 시장에 나온 주택은 2만1천471가구로 전년동기 대비 49.7% 줄었다. 인천지역은 252가구만 분양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4천604가구)보다 94.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76.9%)과 경기(59.5%)의 주택 분양 감소율보다 높은 수치다.

수도권 등 전국의 주택 분양 물량이 지난해보다 절반 가량 줄어든 데에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이후 대통령 탄핵 사태가 이어지면서 건설사들이 ‘눈치보기’에 나서며 분양을 미뤘기 때문이다.

인천의 경우 지난해 1분기 서구 검단신도시와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계양구 등에서 대규모 분양이 이뤄졌던 영향으로 수도권 중에서도 감소율이 더욱 컸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이후 약 4개월간 건설사들이 분양 자체를 안 했다. 분양 마케팅 홍보 효과가 떨어지고, 흥행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라며 “인천은 지난해 1분기에 검단과 계양 등 대규모 분양 영향으로 편차가 더욱 극명하게 나타났을 것”이라고 했다.

인천의 주택 가격 하락 등 부정적인 시장 상황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분양 업계 관계자는 “인천의 시장이 서울과 경기보다 좋지 않기 때문에 건설사들이 분양을 더 미뤘을 것”이라며 “인천은 서울·경기보다 집값 하락폭이 큰 편이다. 집값이 빠지면 집을 사려는 수요가 줄고, 매수자가 적으면 분양 물량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3월 말 기준 인천 미분양 주택은 2천59가구로 전월(2천648가구)보다 22.2% 줄었다. 집을 다 짓고도 팔리지 않는 인천지역 ‘준공 후 미분양’ 역시 3월 1천650가구로 전월(1천679건)보다 1.7% 감소했다.

3월 인천 주택 매매거래량은 4천231건으로, 전월(3천97건) 대비 36.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