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동북공정 움직임이 심상찮다. 고구려를 자국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시도로 우리와 갈등을 빚었던 중국이 이제는 발해사를 중심으로 우리의 고대사를 송두리째 왜곡하고 나섰다. 중국발 역사 왜곡 망령이 되살아 난 것이다. 중국은 한반도 반쪽마저 그들의 역사로 편입시키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고 보면 된다.
중국 사회과학원 변강사지연구센터는 최근 웹사이트에 발해국사 등 동북지방의 역사를 정리한 과제논문 18편의 내용을 요약본으로 올려 놨다. 이 기관의 연구는 조직 성격상 중국의 국가 정책을 의미하는 것인 만큼 이번 역사 왜곡이 가져올 파장이 결코 간단치 않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발해 건국의 주도세력이 고구려인이 아니라 말갈족이며 대조영 정권이 발해 초기에 말갈을 정식 국호로 채택했다는 주장이다. 여기에 한술 더 떠 한국 고대사인 기자조선도 중국사로 보고 있다.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기자조선과 발해도 중국의 일개 지방조직에 불과한 지방민족정권이었다는 게 요지다. 결국 한반도 역사는 시초부터 중국에 속한다는 이야기다.
중국의 주장은 한마디로 어불성설임이 분명하다. 고조선과 고구려, 발해는 우리의 숨결속에 엄연히 살아 움직이는 우리의 역사인데도 중국은 자신들의 역사라고 폄하하고 있다. 기가 막힐 일이 아닐 수 없다. 중국의 이런 역사의식은 중화사관에 기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의 중국 영토내에서 이루어진 역사는 모두 중국사라는 것이 기조다. 하지만 역사를 그 자체로 파악하지 않고 지금의 잣대로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우리의 반쪽 역사를 깡그리 왜곡하는 중국의 태도는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주권국가가 취할 행위로 받아 들이기는 어렵다. 중국의 각성을 촉구한다.
따라서 정부의 엄한 항의와 근본 대책을 요구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6일 중국과의 역사문제에 대해 외교적으로 대응할 부분은 분명히 대응해 나갈 것으로 밝혔지만 어딘지 미덥지 않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먼저 정부는 중국 정부의 역사 왜곡 중단을 강력히 촉구해야 하고 관련 논문의 전면 정정을 요청해야 한다. 그리고 2년 전 “고구려사 문제가 정치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력을 한다”는 등의 구두합의는 어디 갔는지 따져 물어야 한다. 이와함께 우리의 역사를 보호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북한과 협력하는 것도 한 방법일 수 있다는점을 강조한다.
강력히 대응해야 할 중국의 역사 왜곡
입력 2006-09-07 21: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6-09-07 4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