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철수 새정치연합 중앙운영위원장(오른쪽)이 3일 서울 여의도 사무실에서 열린 중앙운영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인천 시도지사 빅매치 예고
각당 본선 승리 '파격 전략' 골몰
與, 3~4개 권역별 순회경선 전환
野, 신경전 속 선관위 위탁 거론


6·4 지방선거 경기·인천 시도지사 선거가 예상보다 빠르게 빅매치 구도로 전선이 형성되면서 여야가 파격적인 경선을 통해 흥행몰이에 나설 태세다.

새누리당은 3일 민주당과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새정치연합간 '제3지대' 신당 창당 합의로 6·4지방선거가 당초 3자 구도에서 양자구도로 급전환됨에 따라 비상전략 수립에 나섰다.

기존 3자 구도에서 기대됐던 '어부지리' 효과가 소멸된 것은 물론, 더욱 강력해진 야권의 단일대오와 맞서야 하는 결코 녹록지 않은 상황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실상 중진 차출을 비롯한 총동원령을 내린데 이어 순회경선을 통한 경선 흥행몰이에 나서기로 하는 등 필승전략에 몰두하고 있다.

경기·인천 시도지사의 경우 3~4개 정도의 권역을 나눠 순회 경선을 실시하는 방안을 짜고 있다. 한때 여론조사를 실시, 15~20%의 지지를 받는 후보들을 잘라내는 이른바 컷오프제를 시도했으나 당내 반발과 국민들의 관심을 불러올 수 없다고 판단, 순회경선으로 전환되는 모습이다.

중진차출론으로 등판한 남경필 의원이 높은 대중성이 있음에도 정병국·원유철 의원 등 기존 후보군들과 깨끗하고 공정한 경선 붐을 통해 국민들의 관심을 끌어 모으자고 제안하고 있어 별 이견이 없는 모습이다.

당헌당규개정특위는 광역자치단체장 공천제도와 관련, 현행대로 대통령후보자 선출규정을 준용, 상향식으로 실시한다.

상향식 추천방식은 원칙적으로 국민참여선거인단대회를 실시하고 선거인단 구성 비율은 당원 50%+국민 50%다. 일각에서는 결선 투표제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기초단체장을 비롯한 기초단위 공천도 상향식 공천을 전제로 후보군이 많을 경우 1차 컷오프를 통한 규정을 정하고, 지역별로 2인 이상 결선투표방식(당원 50%, 일반국민 50%)으로 후보를 선출하기로 했다.

다만 상대당 후보에 비해 현저한 차이가 있는 지역과 여성 할당지역에 대해서는 전략 공천을 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새누리당의 공천 특징이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신당 역시 야당 특유의 경선을 통한 흥행몰이가 본선 승리의 토대가 될 것으로 보고 창당작업과 병행해 묘수찾기에 나섰다.

신당은 기초선거 공천을 포기한 만큼 광역단체장에 집중해야 하는 입장으로, 당초 민주당의 경우 대의원·당원과 일반 유권자 비율을 5대5로 하는 경선방안을 구상했지만 새로운 출발에 어울리는 경선룰이 도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당내 기반이 빈약한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이 출마할 경우 대의원·당원 부분에 대한 문제제기가 뒤따를 것으로 보여 기존 경선방식을 둘러싼 논란이 불가피해 보인다.

신당 차원의 논의와는 별개로 출마자들이 잇따라 경선룰 문제를 제기하며 당을 압박하고 나선 것도 이런 배경이 작동한 결과다.

김진표 의원의 경우 3일 공정하고 투명한 경선을 통해 본선 경쟁력이 가장 높은 '이길 수 있는 경기도지사 후보'를 선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선거관리위원회에 경선관리를 위탁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나섰다.

경선룰을 떠나 경선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원혜영 의원과 김창호 전 국정홍보처장은 '권역별 순회경선'과 '오픈 프라이머리'에 방점을 두고 있다.

이같은 출마자들의 입장과 신당이 '새정치'를 최고 가치로 내세우고 있는 만큼 순회경선을 포함한 '부분 또는 전면 오픈 프라이머리'가 유력한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의종·김순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