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의 전셋값 상승이 이어지면서 서울에서 아파트 1채를 전세내는 돈이면 경기도에서 아파트 1채를 사고도 남는 것으로 조사됐다.
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서울 아파트의 가구당 평균 전세가격이 3억4천47만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달 경기도의 아파트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은 2억9천268만원에 그쳐, 서울의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보다 4천779만원 낮았다.
서울의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2013년 1월에는 2억7천938만원이었으나, 2년 동안 6천109만원이 뛰었다. 또한 4년전인 2011년 1월에는 2억4천555만원으로, 4년 동안에는 무려 9천492만원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경기도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2013년 1월에는 2억8천573만원, 2011년 1월에는 2억9천833만원으로 서울의 평균 전세가격보다 비쌌다. 결국 경기도의 아파트 매매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은 반면,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큰 폭으로 뛰어 가격이 역전된 셈이다.
경기도의 31개 시·군 중에서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이 서울의 평균 전세가격을 넘어서는 곳은 과천(6억6천28만원), 성남(5억596만원), 용인(3억6천533만원), 의왕(3억4천659만원) 등 4곳에 불과했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결국 전세금이 치솟으면서 서울의 전세가격으로 내 집 마련이 가능한 수도권의 아파트가 많아진 것"이라며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을 고려하고 있는 세입자 입장에서는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을 고려해 볼 만 하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부
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서울 아파트의 가구당 평균 전세가격이 3억4천47만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달 경기도의 아파트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은 2억9천268만원에 그쳐, 서울의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보다 4천779만원 낮았다.
서울의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2013년 1월에는 2억7천938만원이었으나, 2년 동안 6천109만원이 뛰었다. 또한 4년전인 2011년 1월에는 2억4천555만원으로, 4년 동안에는 무려 9천492만원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경기도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2013년 1월에는 2억8천573만원, 2011년 1월에는 2억9천833만원으로 서울의 평균 전세가격보다 비쌌다. 결국 경기도의 아파트 매매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은 반면,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큰 폭으로 뛰어 가격이 역전된 셈이다.
경기도의 31개 시·군 중에서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이 서울의 평균 전세가격을 넘어서는 곳은 과천(6억6천28만원), 성남(5억596만원), 용인(3억6천533만원), 의왕(3억4천659만원) 등 4곳에 불과했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결국 전세금이 치솟으면서 서울의 전세가격으로 내 집 마련이 가능한 수도권의 아파트가 많아진 것"이라며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을 고려하고 있는 세입자 입장에서는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을 고려해 볼 만 하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