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7대 종단 지도자들 오찬서 언급"독립운동 앞장 민족대표 종교인들국민 통합의 길 열어주시길" 당부문재인 대통령은 18일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비핵화와 북미 관계 정상화에서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가진 7대 종단 지도자들과의 오찬에서 "싱가포르 공동성명의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이행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그러면서 "1차 남북정상회담이 아직 1년도 안 지났는데 그사이에 엄청난 진도를 이루고 있고, 앞으로 그 진도가 더 이어질 것으로 생각한다"며 "계속 성원해 주시기 바란다"고 언급했다.문 대통령은 또 종단 지도자들에게 "지난주에는 금강산에서 열린 새해 첫 남북 간 민간 교류 행사에 다녀오셨다고 들었다. 남북 국민이 함께 해금강 일출을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느냐"면서 "한반도의 평화가 함께 잘사는 번영으로 이어지도록 계속해서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100년 전 독립운동에 앞장선 민족대표 33인은 모두 종교인이었다"면서 "이번 일주일간 전 세계 종교인과 함께하는 세계종교인평화기도회를 개최하고, 3·1절 정오에는 전국 종교시설에서 일제히 타종이 거행될 예정이라고 들었다. 3·1 독립선언에 대한 큰 기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문 대통령은 또 "선조들이 꿈꿨던 나라는 진정한 민주공화국"이라며 "국민 모두 골고루 잘살고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나라를 국민과 함께 이루고 싶다. 종교지도자들께서 지혜를 나눠주시고 국민 통합의 길을 열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이날 오찬에는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김희중 대주교, 조계종 총무원장 원행 스님, 이홍정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오도철 원불교 교정원장, 이정희 천도교 교령, 박우균 민족종교협의회 회장, 김영근 성균관장 등이 참석했다.한편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후보 추천에 대한 질문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받을 자격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김 대변인은 이어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 등을 통해 한반도에 평화를 가져오는 데 지대한 공을 세웠다는 점, 한반도의 새로운 분위기 정착에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과 결단력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점 등을 누누이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이성철기자 lee@kyeongin.com문재인 대통령이 18일 낮 청와대에서 7대 종단 지도자들과 오찬을 함께 하기에 앞서 독립선언서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도종환 문체부 장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이홍정 총무, 조계종 원행 총무원장, 민족종교협의회 박우균 회장, 문 대통령, 천주교 김희중 대주교, 천도교 이정희 교령, 원불교 오도철 교정원장, 성균관 김영근 관장. /연합뉴스
2019-02-18 이성철
오는 27~28일 하노이에서 열릴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방송사들의 중계 준비도 막바지에 이르렀다.지상파 3사는 지난해 6월 1차 북미회담 때도 싱가포르에 수십명 인력을 파견하고 현지 스튜디오를 차려 회담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하며 시청률 경쟁을 벌였다.KBS는 이미 현지에 인력 상당 부분이 가 있는 상황이다.KBS는 지난 1차 회담 때 선보인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력을 동원해 회담 관전 포인트와 주요 의제 등을 생동감 있게 전달하겠다고 18일 발표했다.또 엄경철 메인 앵커를 중심으로 주요 앵커들과 외교 전문가, 유명인들을 패널로 출연시켜 어려운 국제 정세 문제를 시청자 눈높이에서 알기 쉽게 설명해줄 예정이다. '미리 보는 정상회담' 등 다양한 코너와 화면을 통해 역사적인 2차 회담의 다채로운 측면을 입체적으로 소개하겠다는 계획이다.취재 인력 파견 규모는 50명 내외인 것으로 알려졌다. 취재단장으로는 지난 1차 회담에 이어 임장원 국제주간, 취재데스크는 금철영 통일외교부장이 나선다.엄경철 앵커는 하노이 현지 특설 스튜디오에서 'KBS 뉴스 9'를 진행하고, 서울에도 스튜디오를 차려 공동 진행이 이뤄질 예정이다. 회담 뉴스 특보도 엄 앵커와 임장원 국제주간이 분담해 진행한다.MBC도 하노이 현지에 왕종명, 이재은, 성장경, 김수진 등 4명의 앵커를 투입한다. 현장 취재단은 총 83명에 이르며, 현지 스튜디오도 상당한 규모로 차려질 것으로 전해졌다. 특보 체제는 회담 당일인 27~28일 이틀간 운영될 예정으로,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최신 기술을 동원한 다양한 코너를 기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SBS는 현지에 총 50여 명의 인력을 파견하고, 국내외 포함 총 100여 명의 보도 중계 인력이 투입돼 27~28일 이틀간 취재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SBS 8뉴스'의 메인 앵커인 김현우 앵커와 생중계에 최적화된 베테랑 김성준 앵커 2명이 현지에 가서 특별 생방송을 진행한다.SBS 측은 "역사적인 북미 정상회담의 진행 상황을 시청자가 알아듣기 쉽게 입체적, 분석적으로 전달하는 SBS만의 차별화된 콘텐츠도 다수 준비 중"이라고 예고했다.종합편성채널 JTBC 역시 메인 앵커인 손석희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하노이 현지 취재와 보도를 상당한 규모로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JTBC의 경우 베트남 현지와의 취재 및 보도 계약이 승인되기를 기다리는 상황이다.승인이 떨어지면 손 대표이사를 포함해 수십 명의 취재 인력이 현지로 가 회담 상황을 보도할 예정이다. 특히 JTBC는 회담 이틀 전인 25일부터 회담 마지막 날인 28일까지 나흘간 간판 뉴스인 '뉴스룸'을 현지 스튜디오에서 진행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뉴스 시작 시각 역시 기존보다 55분 이른 오후 7시로 앞당겨 확대 편성할 예정이다. /디지털뉴스부트럼프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미 연방의회에서 열린 신년 국정연설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 계획을 발표했다. 한반도 비핵화의 운명을 가를 2차 북미정상회담은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개최된다. 사진은 지난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기념촬영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싱가포르 통신정보부
2019-02-18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