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진위는 "굴포천은 경기도, 인천시, 서울시의 5개 기초자치단체(부천시, 김포시, 서울 강서구, 인천 부평구, 계양구)를 경유하는 하천으로 각 자치단체가 관할 지역을 관리하는 현 시스템으로는 체계적인 관리가 불가능하다"며 "국가하천으로 관리하는 것이 타당해 조속한 지정을 위한 서명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굴포천은 인천 부평구에서 한강으로 흐르는 총연장 15.31㎞의 하천으로 1990년대 중동신도시가 조성되면서 하천 정비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강우 시 범람이 잦았으며 지금도 대부분의 생활 하수로서 수질개선을 위한 정비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 굴포천 인근에 거주하고 있는 부천시, 인천 부평·계양구 거주 200여만명 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은 물론 친수공간에 대해 급증하는 시민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서도 국가하천으로 지정해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에 따라 지난 2008년 경기도에서 국가하천 지정을 건의한 것을 시작으로 인천시, 부천시 등에서 꾸준히 건의해 왔으며 시민들도 간절히 바라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가하천으로 지정받지 못하고 있다.
추진위는 2014년 8월 부천지역의 뜻있는 정치인, 기관, 단체장, 종교인 등 50명의 인사가 참여해 발족했으며 그동안 굴포천 국가하천 지정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민맹호 공동위원장은 "굴포천 국가하천 지정은 너무도 당연한 것으로 관련 자치단체의 건의와 주민들의 뜻을 외면하지 말고 조속히 국가 하천으로 지정해 주길 정부에 정중히 요청한다"고 말했다.
부천/이재규기자 jaytw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