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1동 주민센터~구청 2㎞ 구간
콘크리트 구조물 걷어내 복원
청년창업센터·카페 등 만들어야
상류엔 추진중인 음악도시로
생태·문화·경제 어우러지는
인천의 상징도시 자리매김 기대


2017011801001225800059461
홍미영 인천시 부평구청장
지난해 말 부평구는 정부(국토교통부)로부터 '굴포천 국가하천 승격'이란 선물을 받았다.

부평평야를 가로질러 한강까지 흐르면서 주변 농토의 젖줄이었던 굴포천. 인천에서 가장 큰 지방하천인 굴포천의 국가하천 지정을 위해 발원지인 부평구를 중심으로 한 인근 자치단체와 정치권은 지난 5년간 국회 조찬간담회를 비롯해 서부수도권행정협의회 공동 건의문 채택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마침 부평구는 지난 2015년 환경부로부터 국비 지원(5년간 국·시·구비 870억 원)을 받는 굴포천 상류 복원 프로젝트(일명 '옛 물길 복원사업')를 추진 중이었다. 국토부의 이번 방침은 '천군만마의 힘'이 됐다.

굴포천은 부평구 가족묘지 부근에서 발원, 계양구와 경기도 부천·김포시를 거쳐 서울 강서구를 통과해 한강으로 빠져나가는 15㎞가 넘는 긴 하천이지만, 5개 기초지자체가 나눠 책임지다 보니 정상적인 관리가 어려웠다. 굴포천이 지방하천에서 국가하천으로 승격하면 관리 책임 일원화로 국토부가 직접 나서게 돼 국고 지원이 늘어나고 하천 환경개선에 가속도가 붙게 된다.

국토부와 인천시 및 부평구 등 3개 광역과 5개 기초지자체가 굴포천 국가하천 지정을 계기로 더 명확한 역할분담과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져야 난개발을 막고 친환경적인 수변 구간을 마련할 수 있다.

국가하천이 된다고 해서 굴포천 전체의 오염문제가 저절로 해결되는 게 아니다. 먼저 해야 할 일은 굴포천 상·하류 간 연속성 확보로 건강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평구 상류 수질개선을 위한 굴포천 옛 물길 복원사업부터 마무리해야 한다.

굴포천 최상류 구간인 부평공원 부근 3km여 지역은 25년 전 산업화 과정에서 콘크리트로 덮고 주차장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구간에 대한 복원이 선행되지 않으면 그 하류를 아무리 정화해도 '백년하청'이 될 수밖에 없다. 최상류 복개구간 아래에서 물이 썩고 우수관과 하수관이 제대로 구분되지 않은 채 흐르기에, 이미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하류라 하더라도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하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또한, 부천의 심곡천 복원공사를 비롯해 방수로로 연결된 아라천 연계 사업도 제대로 된 성과를 낼 수 없다.

그동안 부평구는 인천시와 굴포천 상류복원에 대해 수차례 협의하는 과정에서 적극적인 지지와 협력을 약속 받았지만 인천시의 재정난이 복병이다. 시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경유역 환경청의 한강수계 관리기금을 사용하는 것이 방안이며 정부 차원에서도 지원이 꼭 필요한 부분이다.

굴포천 상류 옛 물길 복원사업의 1단계는 부평1동 주민센터부터 부평구청까지 2㎞ 구간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걷어내고 생태하천으로 복원해 그 주변을 청년 창업 센터 및 굴포 문화 폴리(뮤직 홀)와 카페 등 친수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평구는 올 3월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 용역을 끝낸 뒤 4월에는 환경부에 국비를 신청하고 늦어도 내년 초 실제 사업에 착공할 예정이다. 부평구의회도 관련 특위를 구성해 힘을 보태고 있으며 시민이 참여하는 협의회도 구성돼 착실하게 진행되고 있다.

굴포천 상류 지역은 곧 이전할 부평미군기지 캠프마켓과 연결돼 있는데,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발상지인 이 부근을 중심으로 한 음악도시(Mugic City 부평)사업이 문화체육관광부 지원으로 진행 중이므로 이 두 사업이 완료되면 굴포천 주변이 생태·문화·경제가 어우러지는 인천의 상징도시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이제 문화와 생태가 어우러진 굴포천 주변에서 우리 아이들과 이웃들이 웃고 즐기는, 그래서 경제도 더불어 되살아나는 지속 가능한 도시 부평의 꿈 실현이 한결 가까이 와 있다. 그리고 굴포천 상류의 행복이 흘러 굴포천 유역 인근 도시 주민의 행복도 살아날 것이다.

/홍미영 인천시 부평구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