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창구 다변화 등 소통채널 구축
아웃소싱·공동연구로 '우물안' 탈피
도시정보 제공 서비스 강화에 투자
정규 전문인력 수급 질적성장 모색

2018102801002051500098391


 

 


인천연구원이 독립성과 자율성을 갖춘 연구기관으로 거듭나려면 시민과의 소통 채널 구축과 도시정보 제공 서비스 강화, 정규직 연구인력 수급 등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연구원에 대한 비판의 중심은 시민사회에 민감하지 않고, 시 정권에 따라 흔들렸다는 데 있다.

이런 비판에서 자유롭기 위해서는 시 공무원이 아닌 시민이 원하는 정책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연구 과제 선정과 결과 도출 과정에서 최우선 고려돼야 한다.

인천시와 시민사회 사이 갈등이 있을 때 이를 위한 중재자로서 최적의 대안을 도출해 제안하는 역할을 수행해야지 인천시의 '입' 역할을 해서는 안된다는 얘기다.

시민과 소통할 수 있는 정책 제안 창구 다변화와 접근성 향상, 현장 중심의 연구 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연구원이 분야별 전문가적인 관점에서 방법론에만 매몰 될 것이 아니라 '시민의 언어'로 얘기하는 소통 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연구원 바깥으로 눈을 돌려 지역 대학, 해외 대학과의 협력 연구 강화 등 외부 연구 인력과의 공동연구 활성화를 통해 '우물 안 개구리'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요구도 나온다.

경우에 따라 외부 전문가(아웃소싱)를 활용해 연구 질을 향상하는 방안도 제안되고 있다.

인천의 모든 지식과 데이터, 정보가 총망라된 '도시정보 패키지 서비스'를 인천연구원이 제공할 수 있도록 인천시의 과감한 투자도 요구된다.

시민들이 가공된 도시정보뿐 아니라 1차 정보를 직접 만나고,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연구원이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양적인 성장 외에 질적인 성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전문 연구인력의 수급도 중요한 과제다. 현재 연구원에는 30여 명의 정규직 연구위원보다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는 비정규직 연구인력들이 더 많다.

연구원의 역량을 좌우하는 연구 조직부터 안정돼야 연구위원들에게 더 책임감 있는 역할을 주문할 수 있다.

인천연구원은 민선 7기 출범과 이용식 원장 취임에 맞춰 중기발전계획(2019~2021년)을 세우고 연구원이 환골탈태할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외부 비판과 내부 목소리를 적극 수용해 인천연구원이 '정책개발허브'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체질을 개선하고, 더 나아가 지방연구원의 모델로 성장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용식 인천연구원장은 "취임 이후 지인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인천연구원이 거듭날 시기가 찾아왔다는 얘기를 들었고 깊이 공감하고 있다"며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책임감을 갖고 연구원을 변화시켜 나가겠다"고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