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수도 서울은 산과 강으로 이어져 있다. 서울은 삼각산과 관악산이 이어져 거대 도시가 되었고, 삼각산과 관악산의 물길이 한강으로 모여 수도를 지켰다. 서울의 중심은 한강이요, 한강을 만나야 비로소 서울이다. 한강의 물줄기는 한반도 동쪽인 금강산과 오대산에서 흘러 양평 두물머리(양수리)를 거쳐 서쪽인 강화도 서해까지 이어져 하나가 된다.
경기는 1천여 년 전부터 있던 도시다. 고려의 수도가 개경일 때 개경으로부터 500리 주변에 경현(京縣)과 기현(畿縣)이 모여 '경기'라 하였다. 다시 말해 개경을 중심으로 도성(내성·외성으로 이루어진 도읍지 성곽)과 그 주변 임진강까지 도시 즉 개성, 장단, 정주, 덕수, 강음, 송림, 임진, 임강, 적성, 파평, 마전이 고려시대의 경기다.

하지만 고려말 경기는 한강을 중심으로 좌도와 우도로 나누어져 남경(지금의 서울), 금주(시흥), 과주(과천), 당성(화성) 및 포주(포천)까지 경기의 범위가 넓고 거대해졌다.
경기는 고려 이래 조선까지 수도를 품은 도시다. 600여 년 전 조선의 수도가 개성에서 한양으로 옮겨지며 한양도성 성저십리 밖이 경기가 되었다.
1천년전 고려 수도 개경으로부터
500리 주변 경현·기현 모여 명명
600년전 한양도성 성저십리 밖
북한산성이 있는 고양, 행주산성이 있는 덕양, 한강 아래에서 남한산성까지 광주, 중랑천 건너 아차산성까지 양주가 모두 경기였다. 또한 경기 좌·우도는 경기로 합해지며 양주, 광주, 수원, 여주, 안성까지도 경기였다. 특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군사적 요충지인 유수부(留守府)에 군영이 설치되어 수도와 왕실·왕릉까지 지켰다. 유수부는 개성·광주·수원·강화로 관리영·수어청·총리영·진무영이 그 지역의 행궁과 성곽을 지키는 전략적 직할 도시로 경기였다.
경기는 1천년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도시다. 한양도성을 벗어나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곳은 모두 경기다.

임진강을 거슬러 한탄강이 나오는 고랑포는 1천여 년 전 물길과 뱃길을 잇는 나루터뿐 아니라 고구려와 신라의 축성양식이 있는 호로고루, 당포성, 은대리성이 남아 있다. 또한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 왕릉까지 경주가 아닌 경기에 있다. 장단과 개성의 농산물 및 강화와 김포의 해산물이 임진강과 한탄강이 만나는 고랑포에 수많은 흔적과 이야기가 있다. 많은 배와 물산이 모였던 경기 북부의 무역항에 100여 년 전 화신백화점 분점이 있었던 이유를 금세 알 수 있다.
경기는 한탄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합수머리(도감포) 그리고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교하까지 참게잡이로 유명하다. 밀물 때 서해 바닷물이 임진강까지 올라와 웅어와 황복도 잡히는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천혜의 고장이다. 삶의 터전인 강과 두려움의 대상인 바다가 있는 곳 바로 경기다. 강 건너 철조망이 가로막힌 전쟁이 남긴 독특한 경계가 있는 곳 역시 경기다. 알면 알수록 보면 볼수록 더 보고 싶은 곳이다. 임진강 건너 자유의 다리 지나 허준의 묘와 덕진산성이 있는 파주 역시 경기다.
행궁·성곽 지키는 전략적 지역
한강·임진강 만나는 수도품은 도시
임진강 따라 경기 옛길과 물길을 걷고 싶다. 경기 옛길 따라 걷는다는 것, 걸으며 산과 강 그리고 천을 만나는 것은 작은 행복이다. 또한 경기도 구석구석 사람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아마도 큰 기쁨일 것이다. 겹겹이 쌓인 역사의 흔적을 샅샅이 살펴보고 걸으며 사진도 찍고, 사진에 글을 담고 그 글에 이야기하듯 모든 분들과 함께 행복과 행운을 나누고 싶다.

서울의 역사와 관광의 시작은 한양도성과 한강이듯, 경기 역사와 문화의 시작은 수원화성과 임진강이다. 한반도의 중심인 경기도, 정치·경제·사회·문화·군사 그리고 관광 등 모든 면의 중심부가 경기다.
한반도의 목구멍에서 배꼽까지 걷고 보고 느끼며 기록하고 싶다. 길 위에서 길을 찾듯, 길은 언제나 걸어가는 사람이 만든다. 경기 옛길 어디에서부터 함께 걸어가 볼까요?
/최철호 성곽길역사문화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