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에는 대기가 건조해지고 바람이 많이 불어 화재 발생률이 높아진다. 최근 5년간 계절별 화재 발생률은 겨울이 가장 높다.
이에 소방당국은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11월을 '불조심 강조의 달'로 지정해 화재 예방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이 시기에는 3대 겨울용품이라 불리는 전기장판, 화목보일러, 전기히터가 따뜻한 온기를 주기도 하지만 커다란 화마로 돌아오는 불행한 화재 발생 사례가 증가하기도 한다.
하지만 화재 발생을 우려해 난방용품을 사용하지 않을 수는 없다. 그렇기에 겨울철에 난방용품을 사용할 때는 올바른 사용법과 주의 사항을 숙지해 안전하게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하자.
첫째, 문어발식 콘센트를 지양하고 접합부에 낀 먼지를 수시로 제거한다. 문어발식 콘센트는 전력의 과부하를 유발해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열이 먼지 등의 점화원과 접촉해 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사용하지 않거나 외출할 때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플러그를 뽑아야 한다. 전원이 켜진 상태로 오랜 시간 이불, 침대 등의 가구와 접촉한다면 당연히 화재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셋째, 주택용 소방시설인 소화기와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설치한다.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화재 발생을 알려 대피나 화재 진화를 시도할 수 있게 도와주며, 소화기는 화재 초기에 대형 사고를 막아줘 소방차 1대 이상의 효과를 발휘한다.
결국 화재는 내 눈 밖에서 일어나는 법이다. 화기 취급은 내 눈앞에서, 난방용품은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 예방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우리를 보호해 주는 따뜻한 온기는 화마가 되어 우리를 덮칠 수 있다. 올바른 사용법과 주의 사항을 숙지해 따뜻한 겨울을 보내길 바란다.
/강성응 인천계양소방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