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은형-산림교육원장.jpg
최은형 산림청 산림교육원장
국토 녹화에 성공한 우리나라에선 산림이 중요한 온실가스 흡수원이지만, 세계적으로 보면 산림은 배출원으로 인식된다. 실제 전세계 산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에너지, 교통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산림에서 경작지로 전용되거나 산불 등으로 면적 감소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아마존 유역 등 대규모 산림이 있는 곳에서 심각한데 이로 인해 매년 미국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을 상회하는 81억t이 산림에서 배출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의 근간인 파리협정에서도 산림면적 감소와 훼손 방지를 중요한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감축 실적은 국외 이전이 가능해 선진국 개도국간 협력수단으로 활용된다. 이것을 국외 산림탄소 감축(REDD+)이라 하며 보통 개발도상국의 산림전용과 황폐화를 방지하고 산림 보전과 복원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활동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녹화 성공국가로 많은 개도국으로부터 경험과 노하우 공유를 요청받고 있는데 REDD+ 사업도 그중 하나이다. 2015년부터 캄보디아, 라오스 등지에서 시범사업을 통해 65만t의 감축 실적을 거뒀다.

최근 ESG가 기업경영의 화두가 됨에 따라 REDD+ 사업에 대한 민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산림활동을 통해 배출감축 부담을 줄이고 여러 가지 생태계 서비스를 만들려는 접근이다. 하지만 정보와 기술의 부족 등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올해 8월 '개발도상국 산림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 및 탄소 축적 증진 지원에 관한 법률', 일명 레드법이 제정됨에 따라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법률은 운영표준 마련, 기술개발, 민간 지원 및 전문인력 양성 등을 정하고 있다.

산림교육원도 일반인, 외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REDD+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데 앞으로 교육대상을 늘리고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제공할 계획이다. 기후위기 대응에는 민관이 함께하는 거버넌스가 필요하고 그 시작은 인식과 공감대 확산을 위한 교육일 것이다.

/최은형 산림청 산림교육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