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대부분 학교에서는 교사와 관리자들이 결정을 내리고 학생들은 단순히 수용자로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표현할 기회를 제한한다고 생각합니다.
학교에서 학생이 자신들의 문제에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다양합니다.
첫째, 교육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자신의 학습 방식과 관심사에 따라 학교 수업과 활동을 선택하고 참여하게 된다면 학생들이 더욱 흥미롭고 의미있는 학습 경험을 얻을 수 있게 할 것입니다.
둘째, 자기결정권을 통해 책임감을 갖게 됩니다. 학교의 중요한 문제에 대한 결정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학생들은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느끼게 됩니다. 이는 학생들이 더욱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성취를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마지막으로 학교 내에서 학생들의 결정을 존중하고 인정함으로써 자신감을 갖게 됩니다. 자신의 의견이 존중되고 들어주는 환경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가치와 능력을 믿을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더 나아가서 독립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도 있게 됩니다.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결정하는 것은 학생들의 자기결정 능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고려하는 체계적인 구조가 필요합니다. 학생 의견에 대한 피드백 체계나 학생회와 같은 참여 기구를 통해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과정을 도입해야 합니다. 나아가 정부도 교육 환경에서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태도를 갖춰야 할 것입니다.
/김지헌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그린즈'·황곡초 6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