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기기자협회(협회장·황성규)는 26일 ‘언론 통제’ 논란으로 물의를 빚은 양우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 규탄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서 협회는 지난 19일 경기도의회 사무처 업무보고 당시 양 위원장 발언이 특정 기사의 면 배치를 압박하는 취지라며 편집권 침해, 언론 검열 의도가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양 위원장이 지난 25일 해당 논란과 관련해 발표한 입장문에도 강한 유감을 표했다. 협회는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도 일련의 논란을 ‘일부 언론에서 전후 관계를 생략하고 문제를 삼는 것’, ‘본질을 왜곡하는 것’ 등으로 규정했다. 그러나 논란의 본질을 왜곡하고 있는 것은 다름 아닌 양 위원장 본인”이라고 했다.

동시에 양 위원장을 공직선거 후보로 추천한 국민의힘과, 상임위원장직에 선임한 경기도의회에도 책임이 있음을 강조했다. 이에 양 위원장에게 의회운영위원장직 사퇴와 공식 사과를 요구했다. 도의회와 국민의힘엔 양 위원장 징계와 재발방지책 마련을 역설하는 도의회 기자단 요구에 성실히 응할 것을 촉구했다.

양우식(국·비례)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 /경인일보DB
양우식(국·비례)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 /경인일보DB

한편 지난 19일 양 위원장은 도의회 사무처장에 “회기 중에 의장님의 개회사, 양당 교섭단체 대표 연설이 언론사 익일 지면 1면에 실리지 않으면 그 언론사 홍보비 제한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이후 도의회 기자단은 양 위원장 발언을 언론 통제 시도로 규정하고 강한 유감을 표하는 한편, 양 위원장에 공식 사과와 위원장직 사퇴를 요구했다. 도의회에도 양 위원장의 징계와 재발방지책 마련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대변인단과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도 일제히 비판 성명을 냈다.

이에 대해 양 위원장은 지난 25일 입장문을 통해 “업무보고에서의 발언이 사실 관계, 왜곡 여부와 무관하게 논란이 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도 “일부 언론에서 전후 관계를 생략하고 문제 삼는 것은 본질을 왜곡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래는 성명 원문

(성명서) 반성도 없는 위험한 언론관을 규탄한다

단도직입적으로 묻는다. 무엇이 왜곡인가.

지난 2월 19일 경기도의회 운영위원회의 도의회 사무처 업무보고에서 양우식 의회운영위원장은 사무처장에 “회기 중에 의장님의 개회사, 양당 교섭단체 대표 연설이 언론사 익일 지면 1면에 실리지 않으면 그 언론사 홍보비 제한하십시오”라고 주문했다. 발언 그대로를 정확히 옮겼다. 없는 사실을 지어내기라도 한 것인가.

편집권의 사전적 정의는 ‘편집에 대한 모든 일을 간섭받지 않고 할 수 있는 권리. 신문·잡지·서적 따위의 편집 방침을 결정하여 실행하고, 필요한 모든 관리를 하는 권리’다. 양 위원장의 발언은 홍보비를 도구로 특정 기사의 면 배치를 압박하는 취지다. 편집권 침해, 언론 검열 의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대한민국 헌법은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고, 검열을 금한다. 양 위원장은 2022년 8월 9일 155명의 동료 도의원들과 마찬가지로 법령을 준수하고 도민의 권익 신장과 복리 증진 및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하여 의원의 직무를 양심에 따라 성실히 수행할 것을 도민 앞에 엄숙히 선서했다. 위헌적 발언을 공개 석상에서 서슴지 않는 것이 법령을 준수하겠다고 선언한 도의원의 태도인가.

도의회 출입기자들의 규탄과 지역 정치권·시민단체의 비판에 떠밀리듯 내놓은 해명도 부적절하다.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도 일련의 논란을 ‘일부 언론에서 전후 관계를 생략하고 문제를 삼는 것’ ‘본질을 왜곡하는 것’ 등으로 규정했다. 그러나 논란의 본질을 왜곡하고 있는 것은 다름 아닌 양 위원장 본인이다.

양 위원장을 공직선거 후보로 추천한 국민의힘과, 상임위원장직에 선임한 경기도의회에도 책임이 있다. 출입기자들의 양 위원장 징계, 재발방지 요구에 도의회와 국민의힘은 성실하게 응해야 한다. 침묵과 외면으로 일관한다면 양 위원장의 일그러진 언론관에 동조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

인천·경기지역 언론인들은 계엄사령부 포고령 제1호에 언론·출판의 통제를 명시하며, 언론 자유를 짓밟으려 한 위헌적 비상 계엄을 똑똑히 기억한다.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도민의 대의기관인 도의회에서 언론 통제 논란이 빚어진 데 깊은 유감을 표한다.

인천경기기자협회는 도의회 기자단과 연대해 분명히 요구한다. 양 위원장은 도의회 운영위원장직을 사퇴하고 도민 앞에 사과하라. 경기도의회와 국민의힘은 공식 사과하고 양 위원장 징계 절차를 밟으라. 그것이 법령을 준수하고 양심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겠다고 선서한 도의원과 경기도의회, 정당의 책임감 있는 태도다.

2025.2.26.

인천경기기자협회

/양형종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