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발률·약물 저항성 높은 악성 종양
TBK1 단백질 억제땐 치료 효과 증가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TBK1 단백질이 두경부암 치료 저항성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두경부암은 뇌 아래부터 혀, 인두, 후두 등 가슴 윗부분 부위에 생긴 암을 뜻하는데, 재발률이 높은 데다 약물 저항성이 있어 치료가 어려운 악성 종양 중 하나다.
김철호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팀은 두경부암에서 ‘TBK1 (TANK-binding kinase 1)’이라는 단백질이 암세포 생존과 항암제 저항성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점을 최근 규명했다.
연구팀은 TBK1 단백질이 암세포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 ‘자가포식(autophagy)’과 ‘스트레스 과립(stress granule, SG)’ 형성을 유도해 암세포의 생존력을 높이고 항암제 저항성을 키운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자가포식은 세포가 손상된 부분을 스스로 제거하는 과정이며, 스트레스 과립은 중요한 유전 정보를 보호하는 방어막 역할을 의미한다.
또한 연구팀은 암세포에서 ‘TBK1’의 활성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는 이유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TBK1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을 동물에 투여해 임상적인 부분에 대한 확인도 거쳤다. 실험 결과 종양의 성장이 현저히 억제됐을 뿐 아니라 기존 항암제와 함께 투여했을때 항암 효과가 크게 증가했다. 이는 기존 항암제에 약물 저항성을 갖던 환자에게 TBK1 활성화를 억제하는 새로운 치료 옵션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김철호 교수는 “TBK1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이 임상에 적용된다면 암 치료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오토파지(Autophagy)’에 게재됐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