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해수청, 사전타당성 용역 착수
10억 예산 투입, 2030년 준공 목표
저렴한 물류부지에 기업입주 기대
인천 아암물류2단지(인천 남항 배후단지) 이후 처음으로 공공기관이 직접 조성하는 인천항 항만 배후단지 개발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인천 신항 항만 배후단지 2-1단계 구역(157만㎡)을 대상으로 공공 개발을 위한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을 이달 중 착수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인천해수청은 1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1년간 사전 타당성을 검증하고, 내년 중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인천 신항 항만 배후단지 2-1단계 구역은 화물 보관·배송과 조립·가공 등 물류시설뿐 아니라 업무·상업시설 등 항만 활성화에 필수적인 시설이 집적화된 공간이다. 항만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면 배후단지가 충분한 역할을 해야 한다. 앞서 해양수산부는 인천지역 시민단체와 항만업계 등의 의견을 반영해 새로 개발할 신항 배후단지를 공공 개발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현재 조성돼 있거나 공사 절차를 밟고 있는 인천 신항의 항만 배후단지 255만㎡ 중 공공이 조성한 배후단지는 67만㎡에 불과해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항만 민영화 논란’이 이어졌다.
민간이 개발한 항만 배후단지는 민간사업자가 투자 사업비 범위 내에서 토지나 시설 소유권을 취득하고, 나머지 부지의 우선 매수 청구권도 받는 구조다.
해수부는 인천항만공사가 인천 신항 배후단지 2-1단계를 개발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물류부지를 확보할 수 있어 지역 물류기업의 입주가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해수청 관계자는 “인천항만공사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구체적인 사업 추진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며 “준설토 투기장 매립 진행 상황을 보고 구체적인 사업 추진 시기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