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경쟁 부재… 공개토론 제안
컷오프 일정·방식 논의는 ‘과제’
6·3 조기대선을 앞두고 대선 레이스가 사실상 시작됐다. 각 정당은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방식에 대한 셈법 계산에 한창이다. 진보진영에선 ‘완전국민경선’ 도입을 놓고 벌써부터 신경전이 오가고(4월9일자 4면 보도), 국민의힘도 경선 방식의 유불리를 둘러싼 수싸움에 들어갔다.
국민의힘은 9일 대선 경선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황우여)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경선 준비에 착수했다. 이날 회의에선 후보자 등록과 서류 심사, 여론조사 방식 등 실무적인 절차를 정리하고, 최종 후보는 다음달 3일 고양시 킨텍스에서 선출하기로 했다. 대선 출정식으로 준비 중이다.
하지만 예비경선(컷오프) 일정과 방식은 여전히 ‘숙제’로 남았다. 유불리 논란이 따르기 쉬운 만큼, 당 비상대책위원회가 10일에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당 안팎에선 “한두 차례 예비경선을 거쳐 본경선 후보를 2명으로 압축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흥행’이다. 대중의 관심 없이 치러지는 경선은 대선 승리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위기감 속에, 다양한 아이디어도 나오고 있다. 최근 가요계에서 화제를 모았던 ‘미스터트롯’ 방식에서부터 유튜브 생중계 방식, 국민 참여를 끌어낼 흥행 전략들이 논의되고 있다.
정책 경쟁이 실종된 대선 구도를 극복하자는 목소리도 크다. 일부에선 후보 간 공개토론을 리그처럼 운영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결국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독주 체제에 맞설 ‘경쟁력 있는 후보’를 발굴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다.
이에 대해 당 관계자는 “2강 대결 시나리오에 대한 장단점 논의가 있었고,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비대위에서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본경선은 당헌·당규에 따라 당원투표 50%, 일반국민 여론조사 50% 비율을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이번 경선에서는 여론조사 조작 논란을 차단하기 위해 ‘명태균 방지 조항’도 포함시켜 눈길을 끌었다. 결국 국민 앞에 다시 태어나는 희망의 여정이 되어야 한다는 게 한결같은 목소리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