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서울 태화빌딩에서 인구소멸市郡위기대응본부가 출범했다. /본부 제공
지난 9일 서울 태화빌딩에서 인구소멸市郡위기대응본부가 출범했다. /본부 제공

지역의 인구소멸을 막기 위한 민관협력기구 인구소멸市郡위기대응본부가 출범했다.

인구소멸市郡위기대응본부는 서울 태화빌딩에서 창립식을 열고 본격 활동을 시작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9일 열린 창립식에서는 32명의 민간정책 제안자들이 공동대표가 됐고, 박준영 회장이 상임공동대표로 선출됐다. 또 박승주(전 여성가족부 차관, 세종로국정포럼 이사장), 김천식(전 통일부 차관, 통일연구원장), 전상직(한국주민자치중앙회 회장), 이참(전 한국관광공사 사장) 등이 정책고문으로 추대됐다.

창립식 이후 이어진 세미나에서 전상직 한국주민자치학회장은 “주민자치는 민주의 출발점”이라며 “지역이 스스로 살 길을 결정하지 못하면 중앙정부가 정책을 쏟아도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곽준길 사무총장은 중앙 정책의 지역 전파 한계를 지적하며 ‘지역 맞춤형 TF’ 필요성을 강조했고, 김상미 공동대표는 남원시·보은군 등 생활인구 확대 성공사례의 전국 확산 방안을 제시했다. 이참 정책고문은 K-문화와 지역관광이 결합한 ‘대한민국형 글로벌 관광 허브 전략’을 제안했고, 오우식 공동대표는 교육유학을 통한 청년 참여 등의 대응책을 발표했다.

이어 박 상임대표는 수원의 화성 문화콘텐츠 활용을 통해 청년인구의 유입과 생활인구 증대 효과의 사례를 들며 수원시 정책 노력의 성과가 타 소멸위기시군에 좋은 모범이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본부는 ▲중앙정부 인구정책의 지역확산 ▲생활인구 확대 ▲청년 정착 프로그램 운영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이어 온라인 정책 플랫폼 ‘인구정책뉴스’를 통해 전국 정보를 통합하고 정책자료·사례·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인터넷 허브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목은수기자 wood@kyeongin.com